[2021 Earth Human Epoch Conference]-(296) 지구의 인구는 멸종으로 달려가고 있다

마나미 기자

manami0928@naver.com | 2021-10-17 16:41:36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Earth's population is running towards extinction(지구의 인구는 멸종으로 달려가고 있다). 이런 말이 지구에 떠 돌기 시작한 것은 얼마 안된다. 

그전에는 인구가 많아야 강국이라고 했으며 그러니 힘껏 애를 낳아 길러내야 부자나라가 된다고 했던 국가정책의 말은 순간 없어지고 하나 낳아 잘 키우자 했기에 육아비, 교육비 등이 상상을 초월하는 짐이 되어 스스로 아이를 안 낳고 우리 둘이 아기자기 하게 재미있게 살자고 부부가 약속하고 (무자식 상팔자)라는 옛말을 실감나게 지키고 있는 것은 세계적 추세이다.

그래서 짧은 인생 부부가 즐겁고 멋지게 호화스럽게 돈 걱정 없이 살아가자는 둘만의 약속은 그들만이 아니라 모두가 다그리 약속하고 피임하여 아이가 없는 것을 자랑으로 생각하고 아이를 낳는 것은 구닥다리 고생고생 한다는 인식으로 애를 누구든지 안 낳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면서 노령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역사시대의 (고려장)이 다시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몽고 유목민은 오래전부터 고려장 즉 부모를 3개월 먹을 것을 남겨 두고, 나머지 식구들은 풀을 찾아 이동 한다. 

3개월 후 옛집에 와서 부모가 살아 있으면 또 3개월분 식량을 드리고 간다. 이것이 현재도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몽고는 역시 인구증가로 인한 분쟁싸움 전쟁으로 죽는 것 보다 더 편한 방법이며 행복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전통인 것이다.


현재 지구의 총인구수는 70억명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신생아 출생은 2명당 1명이 아니라 4명중1명도 안 낳으려는 것이 현상 이다. 이런 것에 시계열적으로 개산하면 향우 100년 안에 인구는 멸종되는 지구생태환경의 순환이 일어나는 것을 인간은 모르고 있어, 깜작 놀랠 것이지만 실제로는 모두가 환경 즉 [무자식 상팔자] 시대를 오매불망 가다린 보람이 있어 행복은 커녕 걱정이 앞서 있지만 해결책은 캄캄한 지구인들의 현실이다. 

그래서 인지 동생들에게 애기 낳으면 내가 잘 키워 줄게 하는 이야기를 듣고 아 세상이 그리되었네, 옛말에 [머리 검은 짐승은 데려다 키우지 말라는] 격언이 생각나지만 그것도 변했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시대로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 지구에 살고 있는 먹이사슬의 탑의 존재가 없어지고 그 다음이 탑이 차지하는 예측은 지구 46억년 동안 모든 생명체들이 순환을 거쳐온 덕에 많은 것들이 현존하고 있다고도 말하고 싶다.


지구의 생태환경과 지구물질을 나노화하여 멋지게 살아온 시간은 순간으로 모든 것이 시계열적으로 제로화 하는 불변의 답이 결국 지구의 인구는 멸종이 되어 당분간인 수억년 후에 다시 재생할 것이라는 예측는 지구 46억년 동안의 연대를 보면 탄생, 성장, 전멸을 억년단위로 순환되어 왔다는 것이 그런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더 강한 증거는 1억3천7백년 전 화석 속에서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 있는 바이러스가 지구의 생명체들의 순환을 확정하는 것의 증거가 되었다. 그러므로 지구상의 인구 70억은 순간에 멸종하지만 지금의 사람들은 아무도 믿지 않고 그런 것이 어디 있어 하지만 그 또한 친구들 끼리는 사람들이 지구의 에너지 순환에 참여하고 있기에 지구인들의 멸종은 기하급수적으로 다가 오고 있지만 아무도 믿지안고 있는 시대를 필자는 지질연대표의 맨 끝인 시대를 [인간세]라고 명명하고 그 인간세가 순간 명종될 것이라는 예측은 인구증가 시계열 예측의 이론으로 계산한 것이므로 확실하다고 힘주어 말하고 싶다. 

그러므로 인구절벽은 경제절벽이 되는 것이 지구인들이 멸종되어 지구역사의 순환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사는 물레방아처럼 돈다고 하는 말은 허위가 아니고 실질적 현상을 현인들은 체험할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땅물빛바람연구소장, New Normal Institute 연구소장. 풍수지리감정사연맹 총재. 구리시 미세먼지 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