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고가 공중공원화 사업 타당한가...
전승원
press21c@localsegye.co.kr | 2014-11-14 18:26:25
Warning: getimagesize(http://www.localsegye.co.kr/home/localsegye/public_html/news/data/20141114/p1065605182955531_708_thum.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로컬세계 전승원 기자] 서울역 고가는 안전문제로 올해 철거 예정이었지만 박원순 서울시장이 ‘공중공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서울시민연대가 ‘서울역고가 공중공원화 사업, 타당한가’라는 주제로 13일 개최한 첫 시민토론회에서도 찬반 양측이 사업의 타당성과 절차상의 문제를 두고 팽팽하게 맞섰다.
이날 토론회에 5명의 발제자가 발표를 했다.
‘공중공원화’ 찬성측 김광수 시의원은 발제를 통해서 푸른도시국의 추가경정예산 심의가 있던 지난 9월 24일은 온통 ‘서울역고가’의 보행자전용거리 조성사업(그린웨이)을 놓고 의회가 시끌시끌했다.
무상급식 문제 이후 의회가 이렇게 찬반을 놓고 치열하게 논쟁을 한 것도 오랜만의 일이었다고 회상했다.
서울역고가도로는 안전도 D등급으로 철거 예정이었던 서울역고가를 계획을 변경하여 보행자전용 그린웨이로 조성한다는 계획에 의해 서울역고가 재생관련 예산이 추경예산으로 편성된 것이었다.
본 사업은 도시안전실에서 시행하고, 푸른도시국은 협력하여 녹화사업에 동참하는 형태였다.
철거직전의 고가를 재생한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반신반의 하면서 여러 동료의원들의 의견을 경청했다고 했다.
환경수자원위원회에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하였으나, 결국 2015년 본예산의 편성을 반대하더라도 10월 12일 시민공감대 형성을 위한 서울역고가 개방행사 예산은 1억2천만원에서 5천만원을 삭감한 7천만원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경 예산안이 의결됐다.
서울역고가가 안전하다는 전제로 고가상부 면적 9,661㎡의 50%인 4,831㎡ 이상의 면적과 고가하부 유휴지 9,807㎡, 그리고 8m 교각 25개 면적 942㎡ 등을 합한 15,580㎡의 면적을 녹화할 수 있다.
약 4,700평으로 이는 거의 최소치로 산정한 녹화면적이다. 3,748㎡ 면적의 세운초록띠광장이 보상비 970여억원의 사업비가 사용되었다. 허나 서울역고가는 380억원으로 약 4배를 넘는 녹지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13일 '서울역고가 공중공원화사업, 타당한가' 토론회에서 김광수 서울시의원(오른쪽)이 의제 발제를 하고 있다. © 로컬세계 |
김 의원은 의정활동을 시작할 때부터 지가가 비싸고, 인구밀도가 높은 서울에서 녹지확보를 위해서는 벽면녹화, 옥상녹화 등의 입체녹화가 그 대안이라고 생각을 해왔었는데 지난 10월 12일 서울역고가 개방행사에 다녀온 이후 서울역고가의 재생은 매우 매력적인 프로젝트라는 생각이 더욱 단단해졌다고 피력했다.
서울역고가 재생을 반대하는 측의 논리는 첫째 안전에 대한 우려, 둘째 지역주민의 의사를 수렴하는 절차의 생략, 셋째 신뢰할 수 없는 예산의 문제를 들었다. 여기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연한을 고려한다면 1970년대에 건립된 서울역고가의 수명은 20년을 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김 의원은 “서울역고가가 보행자전용녹지공간으로 새롭게 조성된다면 서울역 일대는 전망경관 개선을 위해 어느 정도의 환경정비가 필요할 것”이라며 “이 또한 주변 지역에는 또 다른 활력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총 380억이라는 예산은 25개구에 골고루 공원을 한두개씩은 더 만들 수 있는 예산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서울하면 딱 떠오르는 랜드마크 하나 가지지 못한 이 시점에서 재생이라는 주제로 15,580㎡ 이상의 녹지를 확보하는 동시에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를 하나 가질 수 있다면 충분히 도전할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김광수 의원은 “절차상의 몇 가지 문제점에 있어서 남대문시장 상인 등 지역주민 의견 수렴이 부족했다는 점은 인정했다. 하지만 현재 남대문시장을 승용차로 찾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고가도로를 새롭게 녹지공간이로 조성하면 유동인구가 늘어남으로 상권 활성화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측의 홍성태 상지대 교수는 개발독재 시대의 잔재인 고가도로를 원래 계획대로 철거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이다.
홍 교수는 “서울에 세워진 고가도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임명한 ‘불도저’ 김현옥 전 서울시장이 김수근 건축가의 자문을 받아 만들었다”면서 “고가도로는 근대화를 과시하기 위한 ‘서울 개조’의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홍 교수는 박정희 시대와 김수근이 만들어낸 거대한 콘크리트 건축물에 지나지 않으며 서울역 고가는 경관을 훼손하고, 주변 교통과 지역 상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서울역 고가의 경우 안전문제가 발생했고, 교통에 큰 영향이 없다고 판단됐다면 당초 계획대로 철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홍 교수는 박정희-김현옥-김수근의 잘못을 ‘보존, 재생, 연결’해서는 안 된다”면서 “서울역 고가도로를 철거하는 것이 서울의 경관을 되살리고 생태문화도시로 나아가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김종립 과학 칼럼니스트는 고가도로의 역사와 한계에 대해 발표했다.
김 칼럼니스트는 “고가도로는 도시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지만, 고가 위에서는 사람이 내릴 수 없기 때문에 대중교통 문제는 해결할 수 없었다”며 “실제 교통난을 해결하려면 지하철을 건설하거나 버스를 늘려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가도로는 교통 흐름을 방해하고, 도시 경관을 해치고, 주변 지역을 슬럼화시키며 노후화되어 안정성마저 의심 받는 도시의 골칫거리가 됐다”고 말했다. 그 이후 오늘날 2002년 떡전고가도로를 시작으로 16개 고가도로가 철거됐다.
김택근 서울시 도로관리과장은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의 긍정적 가능성을 강조했다.
서울시는 근대화의 상징으로 시작해 이제는 수명을 다한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역 고가는 보존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의 관문에 위치한, 산업화 시대를 상징하는 유산이라는 것. 또한 주변에 서울역, 숭례문, 남대문 시장, 남산 등과 연계하면 문화관광자원 개발 가능성도 크다고 했다.
김 과장은 안전문제를 의식하며 “D등급은 보수를 하면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 “상판을 교체하면 안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제2롯데월드 등에서 교통문제를 해결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교통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는 기본적으로 도심 진입 차량은 수요를 억제한다는 정책 방향을 견지하고 있다.
또 이어 김 과장은 “교통대책으로 의주로와 퇴계로를 연결하는 신호 조정을 하고, 다양한 기법과 정보제공을 통한 교통량 분산을 검토하고 있다”며 “종합 교통개선대책이 내년 6월에 나온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공중공원화 서울역 고가 프로젝트를 ‘보행 네트워크’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철도와 도로로 분절된 서울역 일대를 고가 공원을 통해 도보로 연결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의 사업계획안을 보면 계단, 엘리베이터를 서울역광장과 인접건물, 지하철역, 시·종점부에 설치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으로 되어있다.
서울시가 13일 발표한 ‘서울역고가 활용방안 시민 아이디어 공모전’에서도 서울역고가를 ‘도보환승센터’로 만드는 계획이 1등을 차지했다.
손종필 나라살림연구소 부소장은 ‘서울역고가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절차상 문제를 지적했다. 이전까지 박원순 서울시장이 강조한 소통과 경청이라는 시정운영 방식과 동떨어졌다는 것이다.
손종필 부소장은 “사업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기도 전에 내년 사업비를 편성했다”면서 “짜놓은 틀대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손 부소장은 “청계천 복원도 완성한 뒤에는 모습도 좋고 사람도 많이 오는 등 목적과 결과는 좋았다”면서도 “그러나 추진 과정에서 수많은 문제점이 노출됐고 밀려난 상인들이 자리를 잡은 가든파이브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역고가도로는 1969년 4월4일 착공돼 1970년 8월15일 준공됐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