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이천 반도체 산업단지 확충·전문인력 양성에 총력”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 2025-11-10 21:12:15
수도권정비계획법 규제 완화로 이천도 산업단지 조성 가능
“직주락 산업클러스터로 동부권 균형발전 추진”
“기업 수요 중심의 지원체계로 반도체 소부장 생태계 강화”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경기도가 수십 년간 산업단지 조성이 제한됐던 이천 지역에 반도체 소부장 산업용지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을 열면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산업시설 확충과 전문 인력 양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는 15번째 민생경제 현장투어 방문지로 이천시를 찾아 ㈜유진테크에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국토부와 여러 차례 협의 끝에 자연보전권역 내 연접개발 적용 지침을 18년 만에 개정했다”며 “산단 사업 마무리를 잘해내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천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으로 1983년 이후 일정 규모 이상의 공업용지 조성이 불가능했던 지역이다. 그러나 올해 1월 국토교통부가 자연보전권역 내 연접개발 지침을 개정하면서, 수도권 동부권에서 최대 30만㎡ 규모의 산업단지를 단계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기존 6만㎡ 제한에서 대폭 완화된 것이다.
이 조치는 김 지사가 지난해 발표한 ‘경기동부대개발 추진계획’의 핵심 과제 중 하나다. 그는 2040년까지 34조 원 규모의 민관 협력·투자를 통해 동부권 규제 완화와 지역 균형발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경기도는 시군 간담회, 규제개선 TF 구성, 공장입지 실태조사 등 후속 절차를 거쳐 제도 개선의 실질적 성과를 이끌어냈다.
이에 따라 여주시가 추진 중인 가남 일반산단 클러스터는 6월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천시 역시 여주 사례를 참고해 산업단지 클러스터 조성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기업인들은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시설 확충과 인력양성 지원을 요청했다.
박진 비씨엔씨 전무는 “이천의 개발 제한이 완화돼 소부장 산업에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기대를 표했다.
김봉학 밸류엔지니어링 상무는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고, 이정일 테크센드포토마스크 대표는 “산업시설 신설이 지연되면 투자 시기를 놓칠 수 있다”며 산업용지 확보를 건의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인력양성뿐 아니라 높은 이직률 해소도 중요한 과제”라며 “이천 역시 판교처럼 주거와 산업이 공존하는 ‘직주락’ 클러스터 조성 계획 안에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해외 진출 시 도내 기업들이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공급자 중심이 아닌 기업 수요 중심의 지원체계를 마련해 반도체 소부장 생태계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