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군의회 의원연구단체,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회' 최종보고
이창재 기자
sw4831@naver.com | 2024-10-18 22:38:57
최종보고회서 주왕산 권역 중심의 청송군 청사진 발표
한편 일부 주민들, 청송세계지질공원 회의적 여론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회'는 청송세계지질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우수한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의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지난 5월 착수보고를 시작으로 선진지 견학(한탄강 일원)과 8월 중간보고회 등을 통해 의원들의 다양한 정책제안을 수렴하는 등 5개월간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이날 최종보고회는 조찬걸 대표의원을 비롯하여 심상휴 의장, 권태준 의원, 정미진 의원을 비롯해 집행부의 지질공원 팀장, 용역 수행업체인 한국문화콘텐츠창작협동조합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연구용역을 수행한 한국문화콘텐츠창작협동조합 윤응철 이사는 전국 지질공원의 현황 및 특성과 청송군 방문객들의 관광 소비패턴을 참고하여 주변 편의시설 개선과 새로운 관광상품 개발 등을 담은 주왕산 권역 중심의 청송군 청사진을 그려 발표했다.
정미진 의원은 청송군 실정과 맞지 않는 내용은 제외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UAM 같은 아이디어는 지질공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상휴 의장은 결론인 청사진의 내용이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찬걸 대표의원은 “이번 최종보고회에서 의원님들이 제시한 의견을 고려하여 연구 결과에 대해 집행부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를 위해 의회 차원의 노력을 다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청송세계지질공원에 대한 지역주민들은 회의적 의견 및 여론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주민들은 국립공원 주왕산 등 청송 일부지역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첫 인증 당시에 군수가 차기 선거 및 전시행정의 일환으로 주민설명회 과정에서 부정적인 것은 설명을 안했다고 주장했다.
또 청송세계지질공원의 관리와 보호하는 주체는 지방정부가 아니고 중앙정부의 환경부 및 산하 기관이 맡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주민과 지역 발전에 제약만 하나 더 늘어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부 주민들, 청송세계지질공원 회의적 여론
[로컬세계=이창재 기자]경북 청송군의회 의원연구단체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회'는 17일 청송군의회 특별위원회실에서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청송군의회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회' 의원들이 17일 군의회 특별위원회실에서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진 후 용역 수행업체인 한국문화콘텐츠창작협동조합 관계자와 기념촬영하고 있디. <사진=청송군의회 제공> |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 방안 연구회'는 청송세계지질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우수한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의 브랜드 가치 제고 및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지난 5월 착수보고를 시작으로 선진지 견학(한탄강 일원)과 8월 중간보고회 등을 통해 의원들의 다양한 정책제안을 수렴하는 등 5개월간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이날 최종보고회는 조찬걸 대표의원을 비롯하여 심상휴 의장, 권태준 의원, 정미진 의원을 비롯해 집행부의 지질공원 팀장, 용역 수행업체인 한국문화콘텐츠창작협동조합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연구용역을 수행한 한국문화콘텐츠창작협동조합 윤응철 이사는 전국 지질공원의 현황 및 특성과 청송군 방문객들의 관광 소비패턴을 참고하여 주변 편의시설 개선과 새로운 관광상품 개발 등을 담은 주왕산 권역 중심의 청송군 청사진을 그려 발표했다.
정미진 의원은 청송군 실정과 맞지 않는 내용은 제외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UAM 같은 아이디어는 지질공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상휴 의장은 결론인 청사진의 내용이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찬걸 대표의원은 “이번 최종보고회에서 의원님들이 제시한 의견을 고려하여 연구 결과에 대해 집행부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청송세계지질공원 활성화를 위해 의회 차원의 노력을 다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청송세계지질공원에 대한 지역주민들은 회의적 의견 및 여론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주민들은 국립공원 주왕산 등 청송 일부지역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첫 인증 당시에 군수가 차기 선거 및 전시행정의 일환으로 주민설명회 과정에서 부정적인 것은 설명을 안했다고 주장했다.
또 청송세계지질공원의 관리와 보호하는 주체는 지방정부가 아니고 중앙정부의 환경부 및 산하 기관이 맡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주민과 지역 발전에 제약만 하나 더 늘어다고 강조했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