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택 칼럼] 일본인이여, 진정 평화를 바라는가
로컬세계
kmjh2001@daum.net | 2014-09-04 17:25:00
Warning: getimagesize(): php_network_getaddresses: getaddrinfo for localsegye.segye.com failed: Name or service not known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getimagesize(http://localsegye.segye.com/content/image/2012/03/02/20120302001978_0.jpg): Failed to open stream: php_network_getaddresses: getaddrinfo for localsegye.segye.com failed: Name or service not known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하지만 착잡한 마음이다. 한일관계는 여전히 미완의 숙제가 적지 않다. 한일 양국은 전략적인 동반자관계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일본에 대한 감정적인 앙금이 남아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인의 대답은 간단하다. 일본이 과거사에 대해 진정한 반성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본은 위안부 존재 부인부터 독도와 동해 등 영토 문제에 이르기까지 역사왜곡과 강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일본의 양심 회복을 촉구하건만 쇠귀에 경 읽기 식으로 짐짓 모른 체 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사에 대해 사죄와 반성 않는 日 태도
일본의 자가당착적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일본군의 성욕을 채우는 노리개로 전락해야 했던 위안부 문제는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인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지만 일본의 외면 속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독일이 제2차 세계대전 중 저지른 전쟁 범죄에 대해 지금까지 사죄하고 배상하는 모습과 너무도 다르다. 호주 역시 원주민의 폭력적 동화정책에 대해 애버리지니 할머니들을 국회에 불러놓고 그 앞에서 총리가 눈물을 흘리며 용서를 구했지 않은가.
현재 한일관계는 ‘제로섬 게임’이라기보다는 ‘포지티브섬 게임’이면서 복잡한 ‘양면 게임’의 양상을 띠고 있다. 즉 외교관계에서 한국과 일본의 어느 한 편이 이익을 보는 단순 계산보다는 국내정치의 세력 갈등이 한일 양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 한일관계를 우호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라야마 담화 이후 일본 정국의 흐름을 교훈으로 되새겨야 한다. 무라야마 담화 이후 일본 내에서는 부정과 긍정의 두 흐름이 존재했다. 우선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일본 우익의 반발로 인해 ‘새로운 역사모임’도 만들어지고 일본 교과서 개정운동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교과서에 실리게 됐고, 이것이 지금까지 한일 갈등의 씨앗이 되고 있다. 반면 무라야마 담화 이후 한일 양국의 우호적인 분위기는 1998년 한일 공동선언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한국은 문화 개방을 확대하면서 일본 내 한류 붐을 가져왔다. 이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려면 일본 정부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일 밖에 없다.
한데 웬걸, 일본 정부의 우경화는 날로 심화되고 있다. 역진(逆進)이다. 이데올로기 쟁패의 시대가 지나고, 세상이 화해를 통해 글로벌화 되고 있는 마당에 일본은 아직도 ‘우익조(右翼鳥)’의 날갯짓에 매몰돼가고 있는 것이다. 추락으로 가는 길이다.
양심 회복해 독도 등 억지 부리지 말아야
제95대 총리 노다 요시히코를 보자. ‘노다호’의 대한(對韓)정책은 한·일 우호관계를 중시하는 민주당 정권의 외교노선과 큰 차이가 없지만, 독도·동해 등 영토문제에서는 비합리적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마네 현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행사와 ‘방조’는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 노다 총리는 총리가 되기 전부터 “야스쿠니 신사에 A급 전범이 없다”, “난징대학살 희생자 숫자도 과장됐다”는 등 망언을 한 바 있다. 이러니 이웃나라와의 협력은 연목구어일 수밖에 없다. 선린우호의 한계를 확인하는, 이 답답함이여!
일본은 기회 있을 때마다 평화를 거론한다. 심지어 “한국과 안전보장 분야에서도 동맹 관계를 맺기를 희망한다”고까지 말한 각료가 있다. 북한 리스크에 대응하는 공조 필요성에 방점을 찍은 원론적 발언으로 보이지만 일본이 먼저 할 일은 따로 있다. 제국주의 침략으로 얼룩진 과거사조차 인정하지 못하는 미숙한 체질로 평화와 안정을 외친다고 그 어느 피해 국가가 박수를 치겠는가. 그래야 가깝고도 먼 두 국가가 진정으로 가슴을 열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 책임 있는 국가로서의 이미지 훼손도 막을 수 있을 터이다.
일본, 일본인이여, 진정 평화를 꿈꾼다면 스스로를 속이지 말자.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