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고건웅 기자]일반인도 반려동물 수제사료를 안전하게 만들 수 있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펫팸족 1000만 시대를 맞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사료를 만들 수 있는 ‘반려동물 전용 집밥 만들기 웹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애견카페나 중·소규모 반려동물 사료 업체 등에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사료를 제조한다면 신제품 개발을 통해 주문형 사료시장에 바로 진입이 가능하다.
가정에서 활용할 경우 수시로 제조해 신선한 상태의 사료를 먹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 시장규모는 2012년 9000억원에서 2015년 1조8000억원으로 2배나 급성장 했다. 이 중 사료시장은 30% 내외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프리미엄 사료시장의 경우 수입 브랜드가 70% 이상 점유하고 있다.
이번 ‘반려동물 전용 집밥 만들기 웹 프로그램’ 개발로 국산 제품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프로그램은 농축산물과 수산물 등 농촌진흥청이 엄선한 식품 307종과 17가지 영양성분 자료틀(데이터베이스)을 기반으로 설계했다. 이용자가 프로그램에 접속해 동물(개·고양이) 품종과 성장·활동 단계, 체중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원료를 선택하면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사료 배합비율과 급여량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식품 가격정보를 함께 제공해 적은 비용으로도 영양소와 에너지 함량을 맞춘 고품질의 식단을 짤 수 있다. 국외에서 통용되는 반려동물 사양 표준(NRC, AAFCO)을 적용해 해외에서도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농진청 최유림 축산생명환경부장은 “반려동물 사료의 고급화 바람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이 국내 사료시장의 고급화에 대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제사료의 신뢰도향상에도 기여해 국산 사료 자급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이번 프로그램을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국제 특허출원을 준비하면서 국내 펫산업박람회에 출품해 홍보하고 애견카페 등 중소규모 업체 기술지원과 농가형 펫푸드 시범사업을 통해 산업화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누리집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