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박민 기자]26일 관세청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93억 달러, 수입액은 2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액은 2.7% 증가하고 수입액은 20.1% 감소했다.
 
수출대수는 59만 대, 수입대수는 6만 5000 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1%, 19.3% 감소를 보였다.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러시아, 캐나다, 호주, 독일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13.8%).러시아(13.0%).캐나다(4.9%).독일(18.0%).영국(26.4%).베트남(44.9%)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했으며 반대로 호주(-5.9%).사우디(-1.9%).프랑스(-19.0%) 등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감소를 보였다.
 
특히, 러시아는 대형, 중형 차량을 중심으로 증가하며 11분기 연속 증가세가 지속되어 주요 승용차 수출 대상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차 수출액은 6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8%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2017년 1분기 이후 9분기 연속 증가했고,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12억 6000만 달러, 수입액은 2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8%, 98.9% 증가했고, 전체 승용차 수출입에서 친환경 승용차의 비중도 전년 동기 대비 높아졌다.
 
국가별 수입액(금액기준)은 독일, 영국, 미국, 일본, 스웨덴 순으로 영국(74.4%), 미국(0.1%), 일본(17.5%), 스웨덴(37.8%)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독일(-47.4%), 이탈리아(-11.0%), 오스트리아(-74.3%) 등은 감소했다.
수입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입 비중이 높은 중형차(46.2%,-33.1%↓), 대형차(37.3%,-21.5%↓)의 국내 수요 감소로 분석됐다.
승용차 수출 평균단가는 1만 5653달러, 수입 평균단가는 3만 707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증가, 1.0% 감소했다.
 
수출은 친환경차 단가(대당)가 2019년 1분기 22,806달러로 9.2% 증가하며 5분기 연속 상승, 대형·소형차량이 각각 6.6%, 1.4% 상승해 전체 승용차 수출단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입은 중형 휘발유(-2.8%), 소형 휘발유(-3.1%)차량의 단가 하락으로 전체 승용차 수입 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1.0% 하락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