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도시공사 전경. 대전시 산하 공기업 임원 대다수가 공무원 출신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
김동섭 의원은 관피아들이 정년을 1~2년 앞두고 명예퇴직한 뒤 높은 연봉과 정년보다 몇 년을 더 근무할 수 있는 시 산하 공기업으로 자리를 옮긴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대전도시공사의 경우 박남일 사장을 제외한 경영이사와 사업이사 2명 모두 명예퇴직 공무원이고 대전마케팅공사 상임이사 또한 시 기획관 출신이다.
대전시설관리공단은 김근종 이사장을 제외한 2명의 상임이사가 모두 대전시에서 과장을 지낸 공무원 출신이고 사장이 공석 중인 대전도시철도공사도 상임이사 2명 모두 명예퇴직 공무원이다.
대전도시철도공사의 경우 인사청문간담회를 앞둔 차준일 우송대 겸임교수가 사장에 임명된다면 3명의 임원이 모두 명예퇴직 공무원으로 채워지는 셈이다.
이밖에 각 공사의 핵심간부 역시 대부분 공무원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마케팅공사 경영기획실장이 대전시 자치행정과장 출신이고 대전시설관리공단은 경영전략처장을 비롯한 핵심간부 6명이 모두 공무원 출신으로 알려졌다.
대전도시철도공사 역시 경영지원처장, 영업처장, 시설환경처장 등 5명의 퇴직 공무원이 주요간부로 근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대전테크노파크와 대전경제통상진흥원 등 시 출연기관 9곳의 주요간부 36명 가운데 11명이 공무원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동섭 의원은 “대전시에서 정년 1~2년 남겨놓은 시점에 명예퇴직 수당을 받고 퇴직한 공직자가 바로 시 산하 공기업이나 출연기관의 고위직으로 옮겨가 더 많은 급여와 정년이 연장되는 수혜를 얻는 점에 대부분의 공직자나 시민들은 박탈감을 느끼고 있다”며 “특히 업무능력을 인정받는 인사가 적재적소에 배치돼 공기업이나 출연기관에서 효율적인 업무추진이 이뤄지도록 제도적 장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