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최도형 기자] 일선 현장에서 민생의 치안과 안녕을 담당해야할 경찰관 가운데 정신질환, 성격파탄 등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인력이 배치된 사실이 드러나 사회가 충격에 빠졌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새누리 신의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신질환과 성격파탄 등 특별관리하고 있는 사전경고 대상자 70명 가운데 80%가 지구대와 파출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전경고대상자는 징계 이력자 및 부패 가능성이 있고 정신질환 등으로 직무수행에 어려움이 있어 경찰청에서 특별관리를 하고 있는 경찰 공무원으로 현장 근무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한 인력이다.
이들 유형별로는 정신질환자가 23명으로 가장 많았고, 과다한 채무 11명과 윤리관 결여 10명, 조직 화합 저해 8명, 성격 파탄 5명, 사행 행위자 3명 등 으로 분포돼 있다.
근무부서별로는 2015년 현재 지구대가 57명으로 81%를 차지했고 경무 6명, 생활안전 2명, 여성청소년 2명 등에도 배치됐다. 반면 정보·보안, 수하, 형사 등 핵심 부서에는 없었다.
특히, 음주 폭력으로 네 차례나 징계를 받는 등 ‘성격 파탄자’로 분류돼 있는 경관이 지구대에 근무하는가 하면 지방 파출소의 경우는 현재 정신질환으로 지속적인 병원진료를 필요로 하는 경관이 근무하고 있으며 자살우려가 있는 경찰도 지구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현장에서 실탄이 들어있는 총기를 휴대하고 있는 상황으로 국민의 안전을 오히려 해할 수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의 요인을 앉고 있는 상태이다.
아울러, 국내에는 세월호, 돌고래호 사고 등과 각종 안전사고로 인해 사회가 안정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군의 총기 사고에 이어 이번에는 경찰관의 총기 안전사고에 국민이 노출돼 있어 경찰의 안전 의식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신 의원은 “이들이 주로 지구대에서 근무하는데 대해 경찰은 뚜렷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사전경고 대상자들은 대민접촉이 많고 격무에 시달리는 지구대와 파출소 근무 대신 치료와 근무를 병행할 수 있는 곳을 재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