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조윤찬 기자]매년 150만명 이상이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과음이 ‘주범’이다.
1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과민성 장 증후군 진료인원은 약 158만명으로 인구 10만명당 3099명이 진료를 받았다. 수험생은 수능 전, 취업연령층은 연초, 중·장년층은 연말 등 진료인원이 많아지는 시기는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매년 150만명 이상의 진료인원이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약 158만명이 진료를 받았다.
진료유형에 따라 2015년 진료현황은 입원의 경우 진료비용이 1인당 약 66만4000원, 내원일수는 5.4일이며 외래의 경우 진료비용이 약 4만8000원, 내원일수는 1.6일 진료를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 |
▲인구 10만명당 '과민성 장 증후군' 진료인원.(최근 5년간) |
월별 진료인원의 패턴이 가장 독특한 연령구간은 수험생(만 18세)으로 8월부터 10월까지 진료인원이 증가했다가 감소했다. 이는 많은 수험생들이 스트레스로 과민성 장 증후군 진료를 받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업연령층은 전체 진료인원의 패턴과 비슷하지만 평소에 비해 연초에 진료인원이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졸업, 취업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으로 추측된다.
중·장년층 료인원은 전체와 거의 비슷하게 연초·말에 많았다. 이는 송년회, 신년회 등 잦은 술자리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 |
▲연령구간별 월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2015년) 조윤찬 기자 |
과민성 장 증후군은 기질적 이상 없이 복통, 복부불쾌감, 배변습관의 변화를 보이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으로 원인은 정신적인 스트레스, 심리적 요인, 정신사회적 요인, 위장관 운동의 변화, 장관감염, 장내 세균 이상 등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은 9.5%~25%이며 남성(5~19%)보다 여성(14~24%)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소화기 증상으로 방문하는 환자의 28.7%가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진단될 만큼 흔한 질환으로 두통, 요통, 배뇨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변비나 설사 같은 배변양상이 지속되거나 횟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질환일 수도 있으므로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종만 책임심사위원은 “‘과민성 장 증후군’은 심각한 질환은 아니지만 개인의 능력이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기질적인 원인을 배제함으로써 불안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후에는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교정, 적절한 약물치료, 상담 등을 통해 호전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