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마다 휴가철이면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 갯벌에서는 해루질 등으로 인한 고립사고가 빈번하게 생기며, 올해는 갯벌에서 44건의 사고가 발생해 6명이 사망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해루질은 물 빠진 바다 갯벌에서 어패류를 채취하는 행위로 주로 밤에 랜턴 등을 이용해 하고 있으며,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안개가 끼게 되면 방향을 상실하게 돼 고립될 가능성이 높고 이때 육지가 아닌 바다 쪽으로 잘못 향할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하다.
밀물의 속도는 시속 7km~15km로 보통 성인 남성의 걸음보다 2~3배 빠르기 때문에 서둘러 갯벌에서 나와야 사고를 피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초보 체험객들이 조수간만의 차이를 잘 알지 못해 사고 위험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안전처는 해루질시 구명조끼를 반드시 착용하고, 구조 요청 시 사고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폰 등 통신장비를 방수팩 등에 넣어 휴대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2인 또는 3인 이상 짝을 이뤄 활동하고, 물때를 반드시 숙지해 들물 시간 전에 종료할 것을 권고했다.
안전처는 “해루질 등 갯벌사고는 여름 성수기뿐만 아니라 봄, 가을에도 꾸준히 발생하는 만큼 바다 특성을 알고 적극적인 관심과 사전준비를 통해 안전한 갯벌체험을 하도록 각별히 주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