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석을 위해 추석 연휴 1주~3주 전의 누적인 지난해 9월 6~26일 기간과 올해 8월 27~이달 16일까지의 기간을 비교했다.
주요 농축수산물의 수입가격은 66개 중 41개가 오르고 22개는 내려갔다. 배추, 호박, 배 등 3개 품목은 수입량이 없었다.
주요 품목별 평균 수입가격의 현황을 살펴보면 농산물은 36개 품목 중 무(신선, 냉장)(143.3%), 들깨(건조)(52.9%), 참깨(29.1%), 키위(신선)(25.5%), 김치(19.6%), 제분용 밀(19.3%), 옥수수(기타)(16.7%), 양배추(신선, 냉장)(13.8%), 당근(신선, 냉장)(10.0%) 등 23개 품목은 상승하고 마늘(냉동)(△42.2%), 도라지(신선, 냉장)(△19.4%), 팥(건조)(△10.4%), 포도(신선)(△4.2%) 등 10개 품목은 하락했다.
축산물은 10개 품목 중 소갈비(냉동)(14.3%), 소시지(8.0%), 뼈없는 소고기(냉동)(5.7%), 소갈비(냉장)(5.4%) 등 4개 품목은 상승세를 보이며 삼겹살(냉동)(△12.5%), 모차렐라치즈(△11.3%), 닭다리(냉동)(△6.0%), 닭날개(냉동)(△5.4%) 등은 하락세였다.
마지막으로 수산물은 20개 품목 중 낙지(냉동)(57.1%), 홍어(냉동)(35.9%), 대구(냉동)(25.6%), 오징어(냉동)(23.4%), 쭈꾸미(냉동)(18.9%), 꽃게(냉동)(11.1%) 등 14개 품목은 올라가고 갈치(냉동)(△20.0%), 임연수어(냉동)(△17.8%), 고등어(냉동)(△13.6%), 미꾸라지(△13.0%) 등 6개 품목은 떨어졌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