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지원이 3일 내놓은 분석자료에 따르면 근시로 진료받은 영‧유아수는 지난해 7358명으로 2011년 5432명 대비 35.5% 증가했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 5432명, 2012년 5493명, 2013년 5371명, 2014년 5678명, 2015년 7358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2015년 기준 연령별 점유율 중 5세가 43.5%로 가장 많았으며 4세(29.8%), 3세(16.6%), 2세(6.3%) 순이었다.
영‧유아의 근시가 급증하는 이유로 디지털 기기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스마트폰 등 밝은 빛을 근거리에서 접하는 시기가 빨라졌으며 건강검진에서 근시 조기진단 등이 보편화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유아들은 사물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부모에게 표현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생후 6개월부터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도록 하고 야외활동을 할 때는 자외선이 차단되지 않는 장난감 선글라스를 쓰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대한안과학회는 권고한다.
전문가들은 “영‧유아 때의 눈 관리가 10년에서 20년 후의 병적근시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모들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