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사실에 입각하고 헌법적 가치에 충실한 균형 잡힌 역사 교과서 개발할 것”
![]() |
▲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사진출처=교육부 홈페이지> |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1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를 현행 검정에서 국정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안)을 행정예고했다.
황 부총리는 역사 교과서 발행체제 전환 이유에 대해 “역사 교과서가 검정제 도입 이후 국민을 통합하고, 헌법 가치인 자유민주주의에 기초한 건전한 국가관과 균형 있는 역사인식을 기여하지 못한 채 지속적인 이념논쟁과 편향성 논란을 일으켜 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역사교과서 발행체제 개선방안은 역사적 사실 오류를 바로 잡고 이념적 편향성으로 인한 사회적 논쟁을 종식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통합을 이룩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향후 새로 개발될 국정 교과서의 구성에 대해서는 “확정된 사실과 확립된 평가를 기본으로, 헌법정신과 객관적 사실에 입각해 서술될 것”이라며, “고대에서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광복 후 국가 기틀을 마련하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하고, 과학·문화·예술 등 각 분야의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대한민국의 발전상에 대해 균형 있게 기술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황 부총리는 “‘올바른 역사 교과서’는 국민을 통합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며, “올바른 역사관 확립을 위한 교과서 만들기에 학생, 학부모, 교사는 물론 전 국민이 뜻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교육부는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안)에 대한 행정예고를다음달 2일까지 시행하고, 5일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 고시 후 교과서 집필진 및 교과용 도서 편찬 심의회를 구성해 집필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집필이 완료된 교과서는 감수 및 현장 적합성 검토 등을 거쳐 오는 2017년 3월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될 방침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