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간암수술 현황.(질환별, 성별)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올해 초부터 우리나라 주요 5대 암 중 위암·폐암·유방암·대장암 순으로 적정성평가 결과를 발표한 데 이어 마지막으로 16일 간암 평가결과(간암 수술사망률)를 공개했다.
![]() |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1개년)사이에 간암수술을 받은 만18세 이상(임신부 제외) 5371명이 평가대상이다. 평가대상에 포함 되는 간 절제술은 부분절제, 구역절제, 간엽절제, 3구역절제이다.
우리나라 간암수술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7:3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2.7배 간암수술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수술환자 100명 중 남성 66명(66.3%)은 간에만 국한된 간세포암으로 수술을 받았으나 여성의 절반정도(49.4%)는 다른 곳에서 간으로 전이된 전이암에서 뒤늦게 수술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령별로는 50대 33.8%, 60대 30.7%로 50대∼60대가 전체 간암수술 환자의 64.5%를 차지했으며 40대 이하는 18.2%였다.
질환별로는 간암수술 환자 100명 중 간내 담관암은 2.2명(2.17%), 간세포 암은 0.9명(0.93%), 간과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신생물(다른 곳에서 간에 전이된 암)은 0.7명(0.72%)으로 간내 담관암의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간암수술 종류에 따른 사망률은 간암수술 환자 100명 가운데 부분절제술은 0.5명(0.52%), 구역절제술은 0.4명(0.36%), 간엽절제술은 1.6명(1.55%), 3구역절제술은 2.2명(2.22%)으로 간을 많이 절제할수록 사망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난 2012년 간암과 담도암(클라스킨 종양)까지 포함해 수술사망률을 평가했을 당시 수술사망률은 1.88%로 수술환자 100명 중 1.9명이었다.
이번 평가는 간에 암이 있는 경우만 평가대상이었지만 4년 전처럼 담도암(클라스킨 종양)까지 포함해 똑같이 평가하면 수술(간절제술) 사망률은 1.18%(수술환자 100명 중 1.2명)로 수술(간절제술) 사망률이 4년 전에 비해 0.7%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간암수술 사망률은 미국, 중국, 대만, 일본, 싱가폴, 그리스, 프랑스, 이탈리아 8개국의 간암수술환자 100명 가운데 평균 약 2.8명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3배 높았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아시아권인 중국은 2.4명, 대만 3.6명, 일본 2.7명, 싱가포 3명으로 나타났다. 미국이나 유럽 등은 연구 대상자수가 적어 정확한 비교가 어렵지만 미국은 연구결과에서 5.2명으로 산출됐다.
외국은 간에만 국한된 간세포 암에 대한 수술결과인 반면 우리나라는 간암(간세포 암, 간내 담관암) 뿐만 아니라 전이암 등의 수술결과도 포함된 것이어서 더욱 우수하다는 평가이다.
윤순희 평가2실장은 “이번 간암수술 적정성평가는 간암수술(간절제술)에 따른 우리나라의 수술사망률만을 평가한 결과로 각 기관별 평가대상 환자수가 적어 기관별 등급산출시 변별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망률에 따른 평가등급은 산출하지 않았다”며 “이번 평가에서 부족했던 점을 보완해 2년 단위 평가로 전환할 예정이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