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해양경찰서 전경. |
[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해양경찰서(서장 이광진)는 어촌계·지역주민 대상으로 민간 방제세력인 해양자율방제대 확대운영을 통해 지역의 자율적인 해양오염방제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27일 밝혔다.
해양자율방제대는 해양경찰청장이 지역의 자율적인 해양오염방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어촌계 어업인, 지역주민으로 구성한 방제단체다.
해양자율방제대는 기존 4개소(선박 9척, 49명)에서 7개소를 추가하여 현재 11개소(선박39척, 97명)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3월 남외항(N-2) 묘박지에서 발생한 A호(유조선, 1,683톤) 유류유출사고 발생시 '암남 해양자율방제대'가 양식장 보호 및 방제작업에 동원됐으며, 6월 광안대교 인근에서 발생한 B호(유람선, 298톤) 유류유출사고에서는 '민락 해양자율방제대'가 해수욕장으로 기름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등 지역의 방제세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부산해경 관계자는 “해양자율방제대의 역량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훈련 실시하고 활동에 필요한 경비를 지급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하는 등 민간참여형 방제대응체제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