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대전중구의회 본회의장에서 하재봉 구의원이 대흥어린이공원의 주차장에 대한 문제점을 꼬집고 있다. 오영균 기자. |
[로컬세계 오영균 기자] 하재붕 대전중구의원은 지난 10일 구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194회 2차 정례회에서 대흥어린이공원의 주차장 조성계획을 꼬집었다.
이날 하 의원은 구정질의를 통해 “집행부는 지난 9월 23일부터 10월 6일까지 14일간 ‘도시관리계획 변경결정 입안에 따른 공람공고’를 시행해 대흥동 상가 밀집지역의 불법 주·정차 및 주차난 해소를 위해 대흥어린이공원을 주차장으로 변경한다는 결정은 잘못됐다”며 “이는 웰빙을 추구하며 도심 속에 녹지공간을 늘려가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용갑 구청장은 산림청의 경우 도심녹지공간을 확대하는데 올해 1166억원을 투입해 도심 안에 방치돼 있던 전국에 231개소의 공간을 활용해 도시 숲을 조성했고 시민과 기업이 함께하는 도시녹화운동과 도시 숲 사랑 캠페인을 범국민적으로 확산시켜 주력하고 있음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대흥어린이공원 주차장 조성에 따른 예산낭비 문제에 대해서도 크게 우려했다.
그는 “열악한 구 재정여건을 악화시키는 예산낭비 사례로 전락해 결국에는 26만 구민의 구정 신뢰도를 떨어트리는 졸속행정으로 치부될 것이 자명하고 주변에 확보된 공영주차장의 이용률도 저조한 실정”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대흥동 공영주차장이 인근 30m 거리에 이미 141면의 주차면을 확보한 상태지만 그마저 평소에는 80대 정도의 차량만 주차해 56.7%로 이용률이 저조한 실정인데도 주차공간 확보라는 명분을 내세워 대흥어린이공원을 폐지하고 주차장을 추가로 조성한다는 계획은 도저히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며 “이것이 과연 누구를 위한 행정인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고 꼬집었다.
또한 “인근 공영주차장으로 충분한 주차편의 가능한데도 대흥어린이공원의 기능을 상실된 원인은 분석치 않고 주차공간만을 늘리려 한다”며 “앞으로 지역주민들의 휴양공간으로 탈바꿈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녹지공원을 공원답게 조성하는 것이 주민을 위한 ‘참 행정’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용갑 중구청장이 구정질의를 들으며 생각에 빠져있다. 오영균 기자. |
이에 대해 지난 11일 답변에 나선 박용갑 중구청장은 “1962년 대흥어린이공원이 조성될 당시 대전시 중심구였으나 오랜 시간 시대적 환경이 변모해 공원일대가 상권이 형성되는 등 일반상업지역으로 주변 환경이 변화돼 왔다”며 “이에 본 지역을 대흥동 골목재생사업 시행계획에 포함시켜 주차장으로 용도변경을 검토하였으나, 상위계획인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불부합해 현재 도시관리 계획변경 내용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15년이 넘는 기간 이 같은 어려움을 겪고 지내온 것은 구청장으로서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며 시대가 변하면 관련법도 변화돼야 하지만 기존법에만 의존하려는 상급기관 일부공직자들의 나태함이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한계라고 생각한다”며 “향후 여건변화 등으로 주차장 조성이 필요하다면 지역사회 발전과 공공이익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사업의 적정성 여부를 면밀히 검토해 추진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근 대흥동 공영주차장의 이용률이 56,7%로 저조한 실정은 시민들이 주차요금의 부담으로 주차장 활성화에 어려움이 있어, 대전시에 “급지” 조정을 요청한 바 있다”며 앞으로 주차요금 부담을 경감시키고 이용률이 활성화 되도록 구정 운영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