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90% 초임 4000만원 미만 지급, 지역 이공계 대학생 31%는 그 이상 희망
연구개발 인력수급에 대해 지역기업 53.5%, 현재는 적정.. 향후 부족 전망
연구개발인력 인건비 지원 강화, 산학협력과제 확대 지원 등 정책적 뒷받침 필요

[로컬세계 = 김의준 기자] 디지털 전환, 친환경 확산,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급변하는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부산지역 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지만 임금 격차와 우수인재 유출로 인해 연구개발 인력 수급에 큰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지역 제조기업 200개 사와 부산지역 이공계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부산지역 제조기업의 연구개발인력 미스매치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기업의 53.5%가 현재 연구개발 인력 수급에 대해서는 ????적정????하다고 응답했으나, 향후 정부의 R&D 예산 확대 및 주력산업의 경기 개선에 따라 인력수요가 증가할 경우 연구개발 인력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연구개발 인력 채용 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우수인력 확보의 어려움(49.5%)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대임금 수준과 근무환경이 나은 수도권으로의 인력 유출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 다음으로는 높은 인건비 부담(22.2%), 조기퇴사(14.5%) 등의 순이었다.

지역기업의 현실 초임수준과 이공계 대학생의 희망초임을 비교한 결과 지역기업의 90%가 연구개발인력 초임을 4000만원 미만으로 지급하고 있는 반면 지역 이공계 대학생의 31%는 4000만원 이상의 초임을 희망하고 있어 임금수준에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기업은 실무경험, 전공 및 교육훈련 이수 등의 산업현장 경험을 중시하는 반면 지역 이공계 대학생은 임금, 워라밸(근무시간 준수) 등 근무 조건을 중시해 채용 과정에서 인식 차이도 큰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연구개발 인력의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산학협력 및 채용연계 지원책의 실효성이 다소 부족한 데다 지역 중소기업 및 대학에 특화된 R&D 인력양성 정책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개발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지역기업들은 정부에 ▲연구개발 우수인력 공급 ▲연구개발 인건비 지원 강화 ▲산학협력과제 확대 지원 ▲지역 우수인재 유출 방지책 강화 등을 주문했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 관계자는“지역 중소.중견기업들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며 “지역기업들의 연구개발 채용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인 현실임금과 기대임금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인건비 지원과 함께 채용과 연계한 산학협력 확대를 통해 우수인재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