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상반기 해외직구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
최종욱 기자
vip8857@naver.com | 2019-09-17 11:41:30
| ▲상반기 해외직구 2123만건 15억8000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건수기준 42%, 금액기준 20% 증가했다. | 
해외직구 증가세를 이끈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중국 전자제품, 미국 건강기능식품을 들 수 있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해외직구 규모는 2123만건 15억8000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1494만건 13억2000만 달러 대비 건수기준 42%, 금액기준 20%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중국 광군제·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의 영향으로 보통 하반기에 해외직구 수요가 증가하는 그간 추이에 비추어보면 올해 해외직구 규모는 2017년 20억달러를 찍은지 2년만에 3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해외직구 증가세를 이끈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중국 전자제품, 그리고 미국 건강기능식품을 들 수 있다.
가장 큰 요인은 중국 직구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중국發 전자제품 직구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급증했다.
작년 중국에서 직구로 반입되는 전자제품 중 공기청정기와 무선청소기가 가장 많았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무선이어폰(54만6000건, 25%)과 공기청정기(18만2000건, 9%) 순으로 많이 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은 제품으로는 무선이어폰이 12배(4만3419건→54만6317건) 이상 급증했으며, 전동스쿠터의 경우도 전년 동기대비 3배(1317건→4295건) 이상 증가했다.
해외직구 1위 수입품목인 미국 건강기능식품도 직구족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에서 직구로 반입되는 건강기능식품은 올해 상반기에 373만건으로, 전년 동기(260만건)대비 43%나 증가했다.단일 국가·단일 품목군에서 우리나라 직구족이 가장 많이 구입하는 품목으로 분석됐다.
국가별 해외직구 점유율은 미국, 중국, 유럽, 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해외직구의 국가별 점유율(건수기준)은 미국이 46%로 여전히 1위를 기록했으나 2016년 65%에서 올해에는 46%로 3년 사이 점유율이 19%p 감소했다. 점유율 3위인 유럽과 4위인 일본 역시 비중은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해외직구 국내 점유율 2위인 중국의 가파른 성장세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해외직구 국내 점유율은 2017년 유럽을 제치고 2위에 오른 이후에도 꾸준히 성장해 올해 상반기 33%를 기록했다.
중국 점유율 추이를 보면 2016년 11% → 2017년 17% → 2018년 26% → 2019년 상반기 33%이다.
국가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 유럽, 일본 미국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국가별 해외직구 반입건수·점유율중국發 직구는 지난해 상반기 343만건 2억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701만건 3억달러로 건수는 106%, 금액은 49% 증가했으며, 직구물품 반입 증가율과 증가량 모두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793만건 7억30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938만건 7억7000만 달러로 건수는 18%, 금액은 5% 증가했다.
유럽은 지난해 상반기 189만건 2억50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257만건 3억5000만 달러로 건수 36%, 금액은 39% 증가했다.
일본은 지난해 상반기 126만건 90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159만건 1억달러로 건수 26%, 금액은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은 여전한 강세를 보이며, 의류·전자제품이 70%이상 크게 증가했다.
전통적인 해외직구 인기 품목인 건강기능식품이 456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하며 직구 반입량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이 큰 품목은 의류다. 329만건으로 72% 증가율을 기록하며 해외직구 반입량 2위를 차지했다.
전자제품은 300만건으로 78% 증가하며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전자제품은 올해 상반기 가장 높은 상승세(78%↑)를 보였다.
국내 직구족이 가장 많이 구입한 제품은 무선이어폰(609천건, 20%)과 공기청정기(190천건, 6%)순이다.
전년대비 증가율이 높은 제품을 보면 무선이어폰(652%↑), 전동스쿠터(239%↑) 이외에도 커피머신(75%↑), 태블릿 PC 등 노트북(52%↑)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 20대, 40대 순으로 해외직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30대와 20대가 전체 해외직구의 69%*를 차지해 해외직구 증가를 주도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64% 남성이 36%로, 여성이 남성보다 해외직구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작년(여성 70% 남성 30%) 보다 남녀간 해외직구 이용 비율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남성의 해외직구 이용도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