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Earth Human Epoch Conference]-(144) Value creation design
조원익 기자
wicknews1@naver.com | 2020-11-05 15:13:52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
가치 창조 디자인(Value creation design)은 발에 차이는 돌맹이라면 전혀 가치가 없다고 한다면 이것을 돈이 되게 만드는 것을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을 형용색색으로 칠하여 타인이 가지고 싶어 지폐를 주고 사가는 것 즉 나 아닌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 돈 주고 사가는 것이라고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지구에는 모든 것이 무가치처럼 보이지만 그것을 요구하는 자에게는 가치가 있는 것이다.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발에 차이는 돌맹이도 형용색상을 칠하면 가치 없던 것이 가치가 있는 것의 의미를 말한다고 강하게 말하고 싶다.
그러므로 지구에서 인간이 정주하고 생을 유지하기 위해 각자가 갖고 있는 탈렌티를 발휘하여 보기 좋게 꼭 필요 하게 만드는 즉 디자인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지금과 같은 산업화사회에서도 아주 많은 것들이 필요치않은 물건 즉 쓰레기를 주어모아 인간이 문화적 예술적 생활에 필요한 물건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창조적 디자인이다. 그러므로 무가치를 가치가 있게 만드는 것이 창조적 디자인인 셈이다.
현재 단순한 것부터 아주 복잡한 것이 혼합되어 있다, 어떤 것은 에너지 즉 전기와 연결하지 않으면 작동이 아니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 등 또한 도둑이 무서워 자신의 집이 보이지 않게 건축한다든지, 가치 없는 우유팩을 주어보아 종이 원료로 재활용하는 것 등부터 어떤 널판지가 여기 저기 있어 활동에 저해한 것을 통행에 편리하게 주어다 형용색으로 그림을 그려 다시 길가에 전시하므로 길가는 사람들이 시각적으로 즐거워하는 것도 가치창출 디자인이다.
취직도 안되어 빵을 사먹을 한끼 돈도 없어 버리는 물건을 주어 않기 위해 의자를 만들었는데 지나는 사람이 팔으라하여 짬짬하다 배고파 그에게 팔아 점심을 배불리게 먹었다. 그는 또 물건을 주어다 같은 의자를 만들어 안자 있었더니 잘 팔려 결국 그것이 가치가 있어 박물관까지 만들게 되었다. 그 박물관에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 보니 제로가치를 수십배 수백배로 생명을 불어놓은 즉 가치가 있게 한 것 디자인으로 다양한 것이 갖고 싶은 것이 많았다. 나는 그것이 가치창조 디자인이라고 말하고 싶다.
생활필수품에서 고급품에 이르기까지 모양과 질 색감이 좋게 하면 그 가치는 제로에서 수십배 상승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굴러 다니는 쇠붙이 가치가 없는 것을 의자라는 용도로 정하여 사람들이 필요하게 그리고 칠하여 멋지게 예술감이 나게 칠하여 더 가치에 예술적 힘을 넣어 제로에서 돈 주고 사가게 하는 것이 창조적 가치 디자인이다 라고 말해야 되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현재와 같은 사회적 조건 속에서 순간 제로를 망치로 몇번 두드리고 페인트로 칠하면 예술적으로 보여 그것을 즉 타인이 가격을 정해 가져가는가 하면 이력이 나면 창의자가 가격을 붙여도 그 가격이 대한 불만도 없이 잘 사가는 것이 가치 창출의 디자인 결과이다라고 강하게 말하고 싶다.
고도화 과학문명에서는 물건을 이동하거나 그것을 칠하거나, 모양을 바꾸거나 하면 제로가치를 생각한 것 보다 더 큰 가치가 되어 생활에 큰 보탬이 되는 것을 나는 가치창조 디자인(Value creation design)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러므로 주변에 가치가 없이 눈비 맞고 있으며 치우려면 돈 들기에 그대로 버리는 물건을 문의하여 주어다 새것처럼 생명을 주든지 새로운 용도로 하면 그 가치는 한달 동안 먹을수 있는 밥값 이상이 된다는 것이 가치창출이겠죠.
그러나 누구는 아주 비싼 원료를 이용하여 물건을 만들어 파는 것, 예를 들면 6·25전쟁에 생명과 가족, 집이 날라간 전쟁이 끝났을 때 부엌에 쓰는 찬장을 디자인하여 만들어 판매가 잘되어 가구공장이 되고 그것이 기틀이 되어 인생을 디자인, 국회의원이 된 창조적 디자인은 인간 삶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가치가 없은 것을 가치가 있게 하는 디자인을 가치창출 디자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대표.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New Normal Institute연구소장. 구리시 미세먼지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mwchoi@konkuk.ac.kr]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