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굳지 않는 떡’ 대박

로컬세계

kmjh2001@daum.net | 2014-09-04 15:16:00

무첨가·무화학 신기술 개발
Warning: getimagesize(): php_network_getaddresses: getaddrinfo for localsegye.segye.com failed: Name or service not known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getimagesize(http://localsegye.segye.com/content/image/2010/10/03/20101003000011_0.jpg): Failed to open stream: php_network_getaddresses: getaddrinfo for localsegye.segye.com failed: Name or service not known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8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89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false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Deprecated: DOMElement::setAttribute(): Passing null to parameter #2 ($value) of type string is deprecated in /home/localsegye/public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90

오래 보관해도 쫄깃·말랑함 그대로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을 이용해 만든 다양한 떡들.

[로컬세계] ‘하루만 지나도 딱딱하게 굳어버려 보관하기 어려운 떡. 쫄깃함과 말랑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두고두고 먹을 수 있는 떡은 없을까?’

농촌진흥청(농진청)이 전통 떡의 유통·저장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전통 떡 제조법을 변형한 수십가지의 처리 실험을 거쳐 쫄깃함을 유지하기 위해 떡메로 치는 과정인 ‘펀칭기법’과 ‘보습성 유지기법’을 과학화 한 것이다. 특히 기존의 첨가물이나 화학적 처리로 굳지 않게 하는 기술과는 달리 어떠한 첨가물이나 화학적 처리도 하지 않은 ‘무첨가·무화학 처리’ 기술이란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제조기술로 떡을 만들면 오랫동안 쫄깃함과 말랑함을 유지할 뿐 아니라 냉장·냉동 보관 후 해동하더라도 원래 상태의 질감으로 복원된다. 멥쌀, 찹쌀 외의 다른 곡류에 대한 적용성 검토 실험 결과에서 현미가 20~80% 들어간 현미떡에서도 굳지 않는 특성이 그대로 유지, 다양한 잡곡을 이용한 웰빙떡 개발도 기대된다.

현재 우리나라 떡 생산시스템은 전날 주문받아서 밤샘 작업으로 당일 배송하는 방식이다. 짧은 유통기간·저장문제가 떡 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것.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 개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떡 생산·소비문화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떡 산업 종사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제조기술의 경제성평가 보고서(2010)는 오는 2012년부터 2016년에 걸쳐 총생산 유발효과 약 997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282억여원, 고용유발효과는 1971여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농진청은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의 특허출원을 완료한 상태다. 빠른 시일 내 기술이전을 통한 실용화도 계획중이다. 특히 특수한 물리적 처리를 위한 기구·기기가 필요 없어 대량생산시스템과 떡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생산지에 바로 전파가 가능하다는 평가다. 

한귀정 농진청 발효이용과장은 “굳지 않는 떡 제조기술은 쿨(cool)떡, 즉석떡국, 쌀생면, 김밥용쌀롤, 쌀만두피, 비가열떡볶이 등에 활용될 것”이라며 “그 응용범위가 무한해 쌀 소비촉진은 물론 떡 산업 활성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뉴스룸 = 이진욱 기자 jinuk@segye.com

기사입력 2010.10.03 (일) 14:41, 최종수정 2010.10.03 (일) 13:40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