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개항과 연계한 지역경제 활력 거점 조성될 예정

[로컬세계 = 전상후 기자] 부산시는 '부산연구개발특구(첨단복합지구)' 개발사업에 대한 관계기관 협의와 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한 제영향평가를 완료하고 26일 중으로 실시계획 승인을 고시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신기술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확산 등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해 강서구 대저동 일원에 174만 4114㎡ 규모로 연구개발, 첨단산업, 전시·행사(컨벤션) 등으로 구성된 부산연구개발특구(첨단복합지구)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2023년 12월 6일 첨단복합지구 특구개발계획 고시 이후, 시는 관계기관(부서) 협의, 제영향평가(환경·기후·교통·재해)와 특구개발계획 변경 등의 행정절차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실시계획을 수립했다.
이로써 착공을 위한 사전 행정절차를 완료해 조기 사업착수가 가능해져 주민의 숙원을 해소하게 됐다.
이번 실시계획 승인으로 지방과학기술의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실현하고 이를 통한 첨단기술기업 유치와 균형발전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실시계획의 주요 내용으로 ▲첨단산업·산업복합·연구 등 산업용지가 전체면적의 43%(75만 319㎡)를 차지하고 ▲지원용지 15.9%(27만 7817㎡), 상업용지 2%(3만 5029㎡)로 공급된다.
▲공원·녹지·도로 등 공공시설용지는 38.6%(67만 3221㎡) ▲기타용지는 0.5%(7728㎡)인 공간계획이 수립됐다.
주요 유치 업종은 ▲부산연구개발특구 특화산업인 조선해양, 해양자원·바이오 ▲시 전략육성 산업인 정보통신기술 융합, 스마트 부품으로 계획됐으며, 전체 산업용지 면적의 10.8%는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전용단지로 공급될 예정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가덕도신공항 개항과 연계(물류비용 절감)한 부산 미래 성장동력이 확보돼 '기술-창업-성장'의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일자리 창출) 거점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최근 부산시 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된 제2에코델타시티·동북아물류플랫폼 등 강서구 일대의 개발사업과 함께 부산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인근 공공주택사업 등과 연계돼 강서권역이 직주 근접 자족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한다.
직주근접 자족도시란 직장과 거주지가 근접한 지역으로 일자리, 주거, 생활 기반 시설(인프라)이 구축돼 지역주민들이 도시 내부에서 경제적 및 생활적 요구 등이 충족되는 도시를 말한다.
인근 강동 및 대저공공주택지구, 식만~사상간(대저대교) 도로, 강서선 트램 등 주요 기반 시설 구축과 연계한 지역 개발로, 15분도시를 실현하고 압축도시(Compact City)를 구현해 대저 연구개발특구가 서부산권의 핵심 거점지역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12년 만에 장기 숙원사업인 「부산연구개발특구(첨단복합지구)」 개발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며 “올해 조속한 보상절차를 이행해 2026년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대저 연구개발특구를 세계적인 연구개발 혁신 거점으로 육성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