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일하 구청장이 지난 7월 서울 상도동 동작문화복지센터에서 열린‘어르신 낙상 예방 특화 프로그램’에 참석해 참여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동작구 제공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서울 동작구가 초고령사회 진입에 발맞춰 어르신 낙상사고 예방에 나선다. 2025년 8월 기준 관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2%로 초고령사회에 들어섰으며, 최근 10년간 70세 이상 낙상사고 환자가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고령화에 따른 위험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구는 ▲통합 관리체계 구축 ▲개인 맞춤형·데이터 기반 교육체계 확립 ▲생활공간 중심 예방체계 구축을 골자로 한 ‘낙상 예방 종합 운영계획’을 본격 추진한다.
어르신정책과를 중심으로 보건의약과, 체육정책과, 복지사업과가 참여하는 협업기구를 구성해 기획부터 운영·평가까지 일원화된 관리체계를 마련한다. 교육 이력과 낙상위험도 측정 결과 등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성과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사업 효율성과 지속성을 높일 계획이다.
프로그램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단계별 교육 로드맵도 구축된다. 경로당 순회 교육을 통해 낙상 예방 생활 수칙과 균형·근력 기초 운동을 지도하는 발굴·기초 단계, ‘동작구민 건강대학’과 ‘어르신 전용 헬스장’을 연계한 고위험군 대상 심화·특화 프로그램 단계, ‘바른자세센터’의 AI 장비를 활용한 주기적 건강 측정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낙상사고의 절반가량이 거실과 화장실 등 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점을 고려해, 교육 프로그램과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연계한 생활밀착형 안전대책도 병행한다. 경로당 교육 시 체크리스트로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필요 시 ‘집수리기동대’를 통해 안전 손잡이 설치 등 맞춤형 환경개선 지원도 진행된다.
박일하 구청장은 “어르신 낙상사고 예방은 개인 건강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안전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과제”라며, “통합형 낙상예방체계를 통해 어르신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건강도시 동작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