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한국협회 공동주최, ‘지속가능한 평화구축:국제기구와 DMZ’ 주제 논의
![]() |
▲ 세계평화여성연합과 유엔한국협회가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개최한 ‘DMZ 피스존 심포지엄’에서 이호진 유엔한국협회장(가운데 앞줄 왼쪽 네 번째), 세계평화여성연합 문훈숙 세계회장(〃 다섯 번째) 등 참석자들이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로컬세계 = 서이선 기자] 세계평화여성연합(회장 문훈숙, ‘이하 여성연합’)과 유엔한국협회(회장대행 이호진)는 분단의 상징인 DMZ의 평화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22 DMZ 피스존 심포지엄’을 ‘지속가능한 평화구축:국제기구와 DMZ’라는 주제로 지난달 30일 서울 용산구 동자아트홀에서 여성지도자와 회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행정안전부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은 한반도 접경지역과 국제기구 전문가를 한자리에 모아 DMZ 평화지대 이슈와 함께 지속 가능한 평화구축을 위한 대안으로 UN 국제기구 유치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를 공동 주최한 유엔한국협회의 이호진 회장대행은 인사말을 통해 “DMZ는 1953년 협정된 휴전협정의 담당 대상으로 남북한 사이 군사충돌 방지 임무 수행을 위해 유엔이 관여하고 있으며 유엔군 사령부가 매년 DMZ 관련 상황을 안전보장이사회에 보고하고 있다”면서 “전문가들과 함께 DMZ의 평화적 활용을 위해 UN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행사의 의미를 밝혔다.
![]() |
▲ 문훈숙 세계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
문훈숙 여성연합 세계회장은 환영사에서 “최근 UN 사무국 유치가 정치계와 민간단체에서 논의되고 있는 등 세계평화를 위한 활동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고 있다”며 "2014년부터 비무장지대에 한반도 통일과 세계평화를 위한 UN 사무국을 유치하자는 운동을 펼쳐온 여성연합의 활동을 전개 하고 있다" 말했다.
이어 문회장은 "세계적 경제위기와 함께 찾아온 글로벌 패권 경쟁과 북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치유와 희망, 평화의 이미지로써 DMZ의 한계를 극복하고 UN과 함께 신통일한국을 실현할 수 있도록 DMZ 내 국제기구 유치 논의가 확산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여성연합은 2014년부터 한반도 DMZ에 UN국제기구 유치를 통한 지속가능한 평화 제체를 구축하자는 활동을 전개해왔다.
이번 행사는 개회선언 및 국민의례, 문훈숙 여성여합 세계회장의 환영사, 이호진 유엔한국협회 회장대행의 인사말, 발제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 |
▲ |
이후 박흥순 선문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발제와 토론에서 남근우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천 접경 수역에서의 지속 가능한 평화와 국제협력’이란 주제의 발제에서 “인천은 지상에서의 DMZ와 달리 서해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접경 수역으로 해상을 통해 북한과 교류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지리적 접근성이란 이점을 살려 한반도 평화를 견인할 수 있는 상징성을 갖춘 지역”이라고 지역적 특성을 설명하고 “송도국제도시에 입주한 15개의 국제기구를 통해 국제협력 관점에서 서해 접경 수역의 평화적 가치에 대한 국제적 관심 유도를 통해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하며 포문을 열었다.
여성연합은 1992년에 창립되어 ‘인류 한 가족 평화세계’를 기치로 UN과 국제협력, 인종·문화·종교적 화해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들의 역량강화와 지속가능한 평화를 이루고자 전세계 120여 국가와 국내 200여 군데에 지부를 두고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1997년 5월에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의 NGO의 최고등급인 ‘포괄적 협의기관’으로 승인받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도 세계평화여성연합은 유엔 및 국제정치 전문가로 구성된 유엔한국협회와 함께 갈등과 분단의 상징인 DMZ에 대한 도전과제와 비전을 공유하고, 한반도 UN사무국 유치를 실현해 나가는 의미 있는 발걸음으로 9월 말 DMZ Peace Zone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