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톤 규모 신규 광역 소각시설 2031년 준공 목표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경기 파주시는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과 관련해, 생활폐기물을 전량 소각 처리하고 있어 정책 시행으로 인한 ‘폐기물 대란’ 우려가 없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파주시는 탄현면 환경관리센터 내 광역소각시설과 운정 환경관리센터 내 소각장 등 두 곳의 소각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은 각각 200톤과 90톤으로, 이를 통해 연간 약 7만 톤에 달하는 생활폐기물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시는 2002년부터 소각 중심의 폐기물 처리 체계를 구축했으며, 소각 후 발생하는 잔재물은 28,370㎡ 규모의 자체 소각재 매립시설에서 처리하고 있다. 관내 모든 폐기물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직매립 금지 방침에 따른 영향은 없으며, 수도권매립지 반입 제한으로 인한 폐기물 대란 우려 또한 기우에 가깝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아울러 파주시는 기존 소각시설 노후화로 인한 처리능력 저하에 대비하고, 중장기적으로 하루 700톤 규모의 신규 광역 소각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환경부와 전략영향평가 본안을 협의 중이며, 2031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김경일 시장은 “파주시는 이미 직매립을 하지 않는 선진적 폐기물 처리 체계를 갖추고 있어 직매립 금지 정책의 직접적 영향은 없다”며 “신규 소각시설 건립은 주민과의 소통을 최우선으로 투명하게 진행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