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규정 무시한 부실투자…혈세로 메꿔야
부실투자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져
![]() |
▲지난 7월 1일 강원 원주혁신도시에 조성된 한국광물자원공사 신사옥 개청식에서 내빈들이 개청 기념떡을 자르고 있다. 원주시 제공. |
해외자원개발에 나섰다가 수천억대 손실우려가 제기된 한국광물자원공사가 국내광물투자에도 나선 결과 지난해 159억원을 날린 것으로 드러났다.
8일 산업통산자원위원회 박완주의원(새정치민주연합·천안을)이 한국광물자원공사에서 제출한 ‘국내 광산 및 광물가공사업 투자현황’을 분석한 결과 투자한 7개 광물가공업체 가운데 6개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흑자업체도 2010년부터 2013년까지 73억원 이상 적자를 기록한 뒤 지난해 가까스로 1억원 가량의 흑자를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혈세먹는 하마’에 불과하다.
<연도별 당기순이익>
법인명 | 당기순이익 | ||||
2014 | 2013 | 2012 | 2011 | 2010 | |
㈜세아엠앤에스 | -3,166 | -2,275 | -2,233 | -4,075 | -28,797 |
영우자원 | -1,410 | 16 | 34 | 47 | - |
한국알루미나㈜ | 109 | -2,982 | -1,962 | -932 | -1,467 |
에너캠 | -4,104 | -2,096 | -931 | - | - |
㈜지엠씨 | -496 | -483 | -665 | -865 | -1,383 |
대한광물㈜ | -3,898 | -218 | -2,431 | -625 | -21 |
혜인자원 | -2,885 | -4,529 | -3,681 | -4,643 | -1,314 |
| -15,850 | -12,566 | -11,869 | -11,093 | -32,980 |
업체별로는 몰리브덴을 가공하는 혜인자원은 광물자원공사가 31억원을 들여 지분 49%를 인수했지만 지난해 29억원 등 최근 5년간 171억원 적자가 누적돼 매각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특수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한국알루미나는 공사가 2008년 147억원을 들여 지분 49%를 사들였는데 지난해 유일하게 1억원 흑자를 냈다. 2010년 15억원을 비롯해 2011년 9억, 2012년 20억, 2013년 30억 등 최근 5년간 73억원의 누적적자를 기록했다.
세아M&S도 2010년에만 288억원, 2011년 40억원, 2012년 22억원, 2013년 23억원, 2014년 3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황산니켈과 코발트를 생산중인 에너켐 역시 170억원을 투자해 42.5% 지분을 갖고 있는데 지난해 적자가 41억원이다.
22억원을 투자해 45%지분을 확보한 지엠씨도 그동안 누적된 적자가 39억원이다. 37억원을 투자한 영우자원 또한 2013년까지는 유일하게 흑자를 내고 있었지만 지난해 당기순손실 14억원을 기록했다.
한국광물자원공사의 투자가 대부분 실패한 것은 M&A의 기본조차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사 스스로도 ‘국내투자사업 운영관리 실태 점검’을 통해 “투자사업 업무표준관련 투자심의위원회 절차 규정을 위반했다”고 실토하고 있다. 이어 “경제성 평가 및 사업 준공예상 등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다”고 스스로 지적했다.
최초 이사회 부의당시 경제성 평가에 따른 사업의 수익성을 보면 내부수익률이 최고 64.5%(혜인자원)에서 최저 14.4%(영우자원)에 이르는 등 높은 현금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적자가 심화됐다. 국내 투자사업의 공사기간 역시 최초 이사회 보고 대비 상당기간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점이 지난 국감에서도 지적됐지만 광물자원공사는 여전히 매각실적이 전무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손실을 메꾸기 위해 혈세가 투입돼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
공사의 문어발사업은 부채도 크게 늘려 2013년 3조원(부채율 207%)을 넘어섰고 지난해 또 다시 4300억원이 증가돼 3조 7500억원으로 늘었다.
부실투자와 이로 인한 부채 증가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나타났다. 무디스는 2010년 A1에서 2014년 B3로, S&P는 BBB에서 BB등급으로 낮췄다.
박완주 의원은 “부실한 검토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는데도 대책을 새우지 않는 것은 혈세로 이를 메워주기 때문”이라며 “광물자원공사가 자력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해산 또는 합병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