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평택항 컨부두 전경. |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9월 경상수지가 106억 1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43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9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106억1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올 1월부터 9월까지 누적된 흑자규모는 806억 3000만달러로 연말까지 약 1100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8월 88억 9000만달러에서 9월 120억 6000만달러로 확대됐다.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8% 줄어든 452억 7000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상품수입의 감소폭이 더 컸다. 상품수입은 332억1000만 달러로 23.2% 더 줄었다. 통관 기준으로는 수출이 434억 8000만 달러로 8.4% 수입이 345억 6000만 달러로 21.8% 감소했다. 
최근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과 수입의 동반 감소세에서 수입이 더 많이 줄어드는 ‘불황형 흑자’라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서비스수지의 적자규모는 여행수지 개선에도 불구하고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전환 등으로 17억3000만달러를 기록해 전월(13억4000만달러)보다 적자폭이 확대됐다.
근로 및 투자소득으로 구성된 본원소득수지 흑자규모는 배당지급 증가 등으로 전월 9억 5000만달러에서 7억 9000만달러로 축소됐다.
9월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의 유출초(자본이 국외로 나간 것)는 전월 91억5000만달러에서 106억달러로 확대됐다. 해외직접투자 증가 및 외국인직접투자 순유출 전환으로 직접투자의 유출초 규모는 46억6000만달러를 기록해 전월(4억3000만달러)보다 크게 확대됐다.
외국인증권투자의 순유출 규모가 줄어들었으나 해외증권투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증권투자 유출초 규모도 42억8000만달러를 기록, 전월 25억4000만달러보다 크게 확대됐다. 
한은은 “수출은 정보통신기기와 자동차부품 등은 증가했지만 석유제품, 선박 및 철강제품 등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고 수입은 원자재와 소비재 수입이 각각 36.2%와 5.4% 감소하면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