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조윤찬 기자]2015년도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 분야 조사결과 지역간 격차는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복지 분야의 전국 평균 점수는 46점으로 전년 대비 1.77점 하락해 지역간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의 복지 분야 ‘우수’지역은 서울, 부산,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제주지역이며 ‘분발’이 필요한 지역은 전남, 경북지역으로 기록됐다.
반면 전년에 ‘노력’등급이었던 부산이 ‘우수’등급으로 향상됐고 경기도도 ‘보통’등급으로 상향됐다.
교육 분야는 전국 평균점수가 67.03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3.6점 하락한 것으로 최근 3년 연속 떨어지고 있어 지역간 격차가 커진 것으로 보였다.
17개 시·도의 교육 분야 ‘우수’지역은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충북, 경남지역이며 ‘분발’이 필요한 지역은 서울, 인천, 전북지역으로 나타났다.
울산, 경남은 최근 3년 연속, 세종, 충북은 2년 연속 ‘우수’등급에 포함된 반면 서울과 전북은 3년 연속 ‘노력’등급에 포함돼 교육 분야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통’등급이었던 대구는 올해에 ‘양호’등급으로 향상을 보인 반면 전년도 ‘양호’등급이었던 인천은 ‘분발’등급으로 하락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방분권화가 본격화된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 비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17개 시·도 및 교육청,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정보화진흥원 등으로부터 지난 3월부터 자료 협조를 받아 이뤄졌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