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 10~20대 젊은 여성들은 여름철 눈다래끼를 조심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지원이 지난해 대전, 충남, 충북, 세종지역 병원의 눈다래끼 청구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4년 눈다래끼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는 17만 9000명으로 지난 2010년 17만 4000명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0.8%였다.
월별 분포율을 살펴보면 날씨가 더워지며 다래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나기 시작해 7~9월에 가장 많았고 이후 점차 줄어 1~3월에 가장 적었다.
성별 분포율로 보면 눈다래끼 발생으로 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여성은 57.3%인 10만 3000명, 남성은 42.7%인 7만 7000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2만 6000명 많았다.
여성환자의 경우 10대>20대>30대 순으로 환자가 많았으며 특히 10~20대 환자비율은 여성환자 가운데 41.9%, 전체 환자수의 24%를 차지할 만큼 높았다.
남성의 경우 40대>30대>10대 순으로 환자가 많았고 30~40대 환자가 남성환자 중 34.1%, 전체 환자수의 14.6% 수준이었다.
지역별로는 충남지역 병원을 방문한 환자가 6만 4000명(35.5%), 대전 6만명(33.5%), 충북 5만3000명(29.5%), 세종 3000명(1.6%) 순이다.
눈다래끼는 세균성 염증인 다래끼와 무균성 염증인 콩다래끼가 있으며 세균성 염증인 다래끼는 염증이 생기는 부위에 따라 다시 겉다래끼와 속다래끼로 나뉜다.
다래끼는 보통 눈 주위 청결 유지가 안 되거나 스트레스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될 경우에 발생한다. 눈 주위 접촉 빈도가 높은 렌즈 착용자 및 눈 화장을 하는 여성의 경우 발생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
다래끼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손을 깨끗하게 씻고 눈 비비는 행동을 자제하는 등 눈 주위를 되도록이면 만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눈 화장을 한 경우 클렌징을 깨끗하게 하고 화장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며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면역력 저하를 막는 노력도 필요하다.
만약 다래끼가 생겼을 경우 염증성 질환이므로 음주를 피하고 렌즈착용자는 안경으로 바꿔 끼며 눈 화장은 안하는 것이 좋다.
세균성 염증으로 인한 다래끼의 경우 보통 4~5일이면 저절로 나아지지만 발생 초기에는 온찜질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며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항생제를 점안 또는 복용하거나 피부를 절개해 처치 받으면 된다. 조기 치료를 위해서는 가까운 안과에 방문해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