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론병 성별 연령구간별 진료인원 비중(2015년).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희귀·난치 질환인 ‘크론병’이 20∼30대 젊은층에서 절반을 차지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두 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5년간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1년 약 1만 4000명에서 2015년 약 1만 8000명으로 약 4000명이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7.1%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11년 약 233억원에서 지난해 약 474억원으로 약 240억원이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19.4%를 보였다.
2015년 기준 ‘크론병’ 진료인원 절반(50.7%)이 20~30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 점유율은 전체 진료인원 중 20대 29.3% >30대 21.4% >10대 14.5% 순으로 젊은층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
▲연도별 크론병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그래프. |
‘크론병’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으나 주로 15~35세에 진단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 장 질환의 하나로 복통, 설사, 식욕부진과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합병증으로는 농양과 누공, 장 폐쇄/협착, 항문 주위 질환(치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완치가 어렵고 이환과 합병증으로 인해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다.
이종철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은 “크론병은 희귀난치 질환 중 많이 알려진 것이지만 증상이 보통의 장 질환들과 비슷해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며 “복통·설사 등의 증상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관절, 피부, 눈 등에 이상이 동반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