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면 봄이 온다네 라는 전통적 전래의 노래는 변함없이 모두가 기억하고 자신의 생활을 유창하게 성장하는 파워를 신기하다고 말하는 것이 최상의 이해였던 시대의 생각이 변함없이 전래되어 전통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매년 기억하고 있다.
그 기억은 시간흐름을 기억케 하고 자신이 탄생하여 온 정도 나이를 먹었는지 등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타임 성장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리하여 그것과 관련해 지구의 생태변화와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이미지의 메이크업인 제비가 다리골절을 치료해준 것이 다음 해에 박씨를 물어다주어 그것을 심었더니 너무 큰 박이 되어 톱으로 잘라보니 그 속에 금은보화가 가득하다는 것은 자연을 사랑하고 지구생태계를 순리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지구생태환경의 보호를 스토리화한 것은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는 것에 대한 감사의 뜻이기도 하고 그것은 하늘의 조화이므로 그것을 믿는 생활의 생태환경에 관한 인간의 대응의 자연적 법칙을 스토리 텔링이 전래하여 온 것 이라고 말하고 싶다.
매년 삼진날인 3월3일이면 강남 같던 우리짚 제비가 돌아오는 것을 대단히 반가워하고 그것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 지구시스템 즉 지구의 에너지 활동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지식을 갖고 있는 정주의 시간흐름을 기억케 하는 지표 즉 시간의 흐름를 말하는 것이며, 이를 기억하여 자자손손 구비 전수하는 삶의 가치를 기억케 하는 생활방법의 모멘텀이다.
자연환경의 신비를 글방이나 학교에서 처음 듣는 쇼크는 인생에서 잊지 못하는 대단한 지식이며 그 지식을 삶의 로드맵에 큰 영향을 주고 있어 [立春大吉(입춘대길)]은 지구시스템의 시간변화의 결절점이라는 것이다. 역사 속에서는 관상감이라는 직책이 오늘의 인기있는 일기예보를 하는 아나운서이다. 항간의 말로는 아나운서가 못한 사람이 일기 예보를 하는 직함은 이 시대의 인기직업이다.
지구 표면의 온도변화는 태양과의 관계에서 일어난다는 것은 처음 기억하는 것은 지구가 태앙을 줌심으로 큰 원을 그리는 태양과의 거리가 길거나 짧은 것에 따라 다양한 변화 즉 4계절 구분인 에너지변동을 명확히 하기 위한 10간12지로 구분하여 정주사회에 시간 흐름에 따라 먹거리를 재배하는 즉 생활하기 위한 것은 인간이 정주하면서부터 태음 태양력을 창안한 것은 인간이 만든 대단한 발견이며 힘이다.
지금도 그것에 의해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변화가 피해라는 것으로 말하는 것은 인간이 그 변화를 가속화하는 것이라는 결론으로 인간은 대응하고 있다.
그 변화를 기억하여 언제 올 것인지를 수치적으로 구분한 것은 달을 중심으로 한 것과 태양을 중심으로 계산하는 모집단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그것을 기억하고 때로는 반항을, 때로는 순응을 하면서 때로는 성장하는 역사를 지구와 태양과의 관계적 에너지 변동이며 극한이 인긴이 살아가는데 적온을 찾아가거나 맞이하는 것은 인간만이 하는 것은 아니다. 지구상의 생명체 모두가 그러하다.
필자는 지구표면의 생태환경의 활동을 순환하며 그 온도의 차이가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그 순간변화의 차이에 에너지변동 차이의 역사가 지구 기후변동이며 그것이 지구의 연대를 기억하고 그 시대에 기후변화로 인한 것을 알고자 하는 고기후연구이며, 우리가 마지막 현상이라고 하는 극지방의 빙하가 녹은 것을 보고 온도를 예측하는 것은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관계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라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임하게 되면서 인간이 만들어 내는 편리성 도구제작 발생하는 탄산가스의 양이 증가하면 지구의 시스템과 관계 없이 기온변동이 발생한다는 것은 주기성이 주기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대표.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New Normal Institute 연구소장. 구리시 미세먼지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