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구 신임 관세청장이 미국의 고율 관세정책에 대한 대응을 취임 후 첫 정책 과제로 삼고 수출기업 보호에 나섰다.
관세청은 17일 ‘미국 관세정책 대응 및 국내산업 보호를 위한 특별대응본부’(미대본)의 5∼6월 활동실적을 점검하는 회의를 개최했다. 이 청장은 회의를 주재하며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에 총력 대응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지키는 것이 관세청의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관세청은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미대본 본부장을 기존 차장급에서 청장 직속으로 격상했다. 이를 통해 조직 전반의 대응 역량을 높이고 수출입 기업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 청장은 18일에는 경남 양산시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성우하이텍 서창공장을 방문해, 고율 관세로 어려움을 겪는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애로사항을 들었다.
관세청은 미국 관세정책 대응을 위해 5∼6월 동안 기업지원, 위험점검, 무역안보 등 세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워싱턴DC에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과 국장급 협력회의(5월 9일)를 진행하고, 서울(5월 14일)과 부산(5월 16일)에서는 해외 통관제도 설명회를 열어 기업들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했다.

또한, 자동차·부품, 식품, 철강·알루미늄 관련 원산지 판정 대응자료와 FAQ를 발간하고, 한미 간 품목분류 연계표와 무역통계 활용법 안내자료 등을 배포했다.
위험점검단은 한국철강협회 등과 협업해 외국산 철강재의 원산지 표시 위반 단속을 실시해 약 165억원 규모의 위반 사례를 적발했으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원산지 세탁이 의심되는 업체를 선별해 추가 점검에 나섰다.
무역안보특별조사단은 지난달 24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 협력회의에서 전략물자 유출 및 우회수출 대응 방안을 공유했으며, 한미일 3국이 참여하는 혁신기술 보호 네트워크(DTPN) 회의에도 참석해 국제 공조를 강화했다.
이 청장은 “미국 관세정책 대응은 현시점 관세청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과제”라고 강조하며, “불확실한 통상환경 속에서도 우리 산업이 흔들림 없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 직원이 모든 역량을 동원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지차수 기자 chasoo9@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