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
그러다 보니 여야가 극과 극으로 서로의 주장만 있을 뿐 정치가 서로 협치는 없고 싸움질만 하고 있다. 국민들이 그렇게 하라고 선출해 주는 것도 아닌데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고 자신과 자신의 소속 당만 생각하며 정치의 색깔을 보인다. 이것이 한국 정치판이다. 이래도 되는가? 묻고 싶다.
선거가 있을 때는 모든 국민들에게 접근하여 자신과 자기 당을 홍보하며 최선을 다한다며 말해놓고 단선만 되면 언제 그랬느냐고 하는 식으로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 그러다 보니 모든 정치 판이 개판이다. 국민 없는 나라가 과연 존재하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누가 누구를 위해서 정치를 하는가? 묻고 싶다. 한 나라의 정치는 모두가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이뤄져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떤가? 심지어 지역구 의원들도 지역도 잘 모르고 지역구를 차지하고 애로사항과 지역의 현안문제도 모르고 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제대로 의정 활동이 되겠는가?
공천 가지고 장난치다 보니 그 지역의 인사는 없고 계파 정치로 줄 세우기 정치가 선거를 좌우 한다. 물론 당선이 되어도 그 후보는 그 지역의 진짜 문제점도 모르는 인물로서 그냥 의정 활동도 그렇게 시간만 간다. 이것이 우리 정치판이다.
정치는 무슨 일이 있어도 변함없이 국민을 위해서 일해야 하는데 우리 정치는 의원들의 품위와 권력을 위해서 자리를 지켜가고 있다. 이것이 여의도 국회다.
갈수록 국민들의 불만이 커지는 사회다. 왜 그런가 들여다보라. 국회가 국민을 위해서 가장 바라는 것은 국민이 원하는 것을 입법화 시켜야지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서 놀고 가는 정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여야가 정신 차리고 국민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그 소리는 애절함이 묻어 있는 바램이다. 그런데 그 애절함도 입법 추진을 해놓고도 시간이 많이 흘러도 아직도 입법화 되지 않는 법안도 많다. 그러다 보니 국민들이 국회를 바라보는 눈이 어떻겠는가?
정치의 모든 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국민으로부터 지지를 받아야 힘도 생긴다. 그런데 국민으로부터 신임 받지 못한다면 과연 정치를 국민들이 믿겠는가?
국민을 바로 보고 국민 앞에 바로 서야 국회를 인정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 국회는 어떤가? 국민을 보지 않고 자신들의 입장만 얘기하고 여야가 매번 싸운다. 과연 이것이 누굴 위한 것인가?
그 나라의 정치가 바로 서야 나라가 제대로 가고 국민들도 믿고 생활한다. 그러려면 정치인들이 국민의 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절대로 정치가 올바르게 갈 수가 없다.
선거의 주인이 유권자이듯이 유권자들의 소릴 듣지 않고는 바른 정치가 될 수가 없다. 국민의 소리는 그 나라의 운명 같은 것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