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용우 행정학박사(지적학전공)/작가 |
우리가 흔히 친일 사학자로 치부하고 있는 이병도 역시 그의 저서 '한국고대사연구'에서 '후한서'「동이열전」「예」에 ‘소제(昭帝) 시원(始元) 5년(B.C.82)에는 임둔과 진번을 폐지하여 낙랑과 현토에 합병하였다. 현토는 다시 고구려로 옮겼다.’라는 기록을 인용하여 한사군의 통폐합과 고구려의 존재를 서술하였고, '삼국지'「위서」「동이전」「동옥저」에 기술된 ‘이・맥(夷·貊)의 침략을 받아 군(郡)을 고구려의 서북쪽으로 옮기니’라는 기록을 인용하여 현토군이 기원전 75년에 지금의 혼하 상류인 흥경 노성 부근으로 옮겨갔는데, 그것이 고구려의 서북쪽으로 옮긴 것이라고 하였다.
![]() |
▲[그림 ] 고구려와 현토군의 위치 가상도 |
이병도는 여기에서 지칭하는 고구려가 국가인지 아닌지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현토군이 고구려 서북쪽으로 옮겼다는 것은, [그림]에서 보듯이 현토군 안에 일개 행정구역으로 속해있는 고구려현의 서북쪽으로 본체인 현토군이 옮길 수는 없으니, 현토군 밖에 존재하는 고구려의 서북쪽으로 옮긴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고구려현과는 또 다른 고구려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전회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원전 107년 현토군에 고구려현이 설치되기 이전에는 물론 현토군이 설치된 이후 기원전 82년과 기원전 75년에도 고구려현과는 별개의 독립국인 고구려가 존재한 것은 역사적인 사실로, '삼국사기'에 기록된 기원전 37년이라는 고구려 건국 연도는 재정립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삼국사기'에 신라는 기원전 57년, 고구려는 기원전 37년,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건국되었다는 기록을 통해서 우리는 고구려 건국 연도가 기원전 37년이라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하지만 고구려가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여러 가지 기록들이 존재하는 까닭에 고구려 건국 연도가 재 정립되어야 한다는 움직임이 학자들 사이에서 오래전부터 일어났고, 지금도 많은 학자가 호응하고 있다.
특히 신채호는 1931년 6월 10일부터 10월 14일까지 103회에 걸쳐 조선일보에 '조선사'라는 이름으로 연재하고, 훗날 '조선상고사'라는 이름으로 출판된 역사서에서,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신라가 고구려보다 늦게 건국된 사실을 부끄럽게 생각해서 고구려 초기 역사를 삭감하여 건국 연도를 늦춘 것으로, 고구려 건국 연도는 기원전 190년 전후’라고 고구려 건국 연도의 소급 필요성을 주장했으며, 이후 많은 학자가 동조했는데 그 이유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광개토대왕릉비에는 광개토대왕이 추모왕의 17세손이고, '삼국사기'에는 12세손, 혹은 13세손으로 기록되었다. 초기 왕들을 누락하고 기록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12세손, 혹은 13세손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시조를 포함하느냐 아니냐의 문제로 신채호는 13세손이라고 했고 북한의 손영종은 12세손이라고 했지만 1세손의 차이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초기 왕 중 몇 명을 누락시키고, 그 업적을 전・후의 왕과 어떻게 혼합 기록하여 초기 역사를 삭감해서 건국 연도를 늦췄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둘째, '삼국사기'「고구려 본기」「보장왕」 끝에 첨부한 ‘김부식이 고구려를 논하다’에, ‘고구려는 진(기원전 221~기원전 206)・한(기원전 206~220)의 동북 모퉁이에 있었다’라는 기사는 고구려가 이미 진나라 때 존재했음을 인정한 기록이다.
셋째, 당나라 고종에게 시어사 가언충이 전황을 보고할 때, ‘'고구려비기'에 고구려가 900년이 못 되어 80 대장이 멸망시킨다는 기록이 있는데, 고구려가 건국 후 900년이 되었고 이적은 80세입니다’라고 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은, 전쟁 상대인 고구려에 대해서 충분히 연구했을 당나라 고종의 고위 참모가 한 발언이므로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가 멸망한 668년은 고구려 건국 후 900년 정도 되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넷째, 한사군을 설치할 때 현토군에 고구려현을 만든 것은, 여러 가지 기록을 종합해 볼 때 그 당시 고구려가 존재했으니까 고구려현을 만든 것이다. (다음 호에 계속)
신용우 행정학박사(지적학전공)/작가/칼럼니스트/영토론 강사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