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중구 거리에 효문화뿌리축제 예산 삭감을 반대하는 플랜카드가 걸려 있다. ©로컬세계 |
[로컬세계 오영균 기자] 대전시 중구의회가 재정위기를 이유로 내년도 지역 대표축제인 효문화뿌리축제 예산을 전액 삭감해 논란을 빚고 있다. 특히 업무 추진비 등 구의회 관련 예산은 삭감 없이 원안대로 통과시켜 ‘제 밥그릇 챙기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중구청에 따르면 구의회는 지난 19일 본회의를 열어 집행부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 본예산 3006억5800만원을 의결하면서 이중 10억8000여만원을 삭감해 통과 시켰다.
의회 삭감 예산에는 전국에 알려진 효문화뿌리축제 예산 5억원을 비롯해 칼국수축제 예산 1억원, 중교로 차 없는 거리 운영 예산 5000만원, 어린이집 냉난방비 4300만원 등이 포함돼 있다.
대전시가 효문화뿌리축제를 대덕구 계족산 맨발축제, 유성구 사이언스 페스티벌과 함께 내년부터 대전 3대축제로 육성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의회가 관련 예산을 삭감함에 따라 예산 지원은 물론 개최조차 불투명해졌다.
이와 관련 구의회는 “1977년 개청 이후 최악의 재정위기를 겪고 있어 재정위기 극복 차원에서 축제 등 소모성 경비를 삭감했다”며 “효문화뿌리축제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기에 국·시비를 지원 받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구의회가 예산삭감의 이유로 재정위기 극복을 내세웠지만 ‘제 밥그릇’은 꼼꼼히 챙긴 것으로 드러나 이 같은 명분은 퇴색됐다. 수년간 외유성 논란을 빚은 국내외 여비와 의장단 업무추진비 등은 원안대로 통과시킨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구의회 예산안 통과를 참관한 한 주민은 “재정위기 극복을 이유로 구청의 주요 예산을 삭감한 반면 구의원들과 관련된 국내외 여비와 공통운영경비, 의장단 업무추진비 등은 원안대로 삭감 없이 통과시킨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말했다.
예산 삭감의 원인으로 꼽힌 기초연금 재원 확보와 관련해서도 의회와 집행부간 의견이 엇갈리는 점도 논란이다.
의회는 이번 소모성 경비 삭감으로 3개월분만 예산 편성된 기초연금을 5월분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 반면 집행부는 기초연금을 내부유보금에 이미 편성해 11월까지 집행이 가능한 상태였다고 일축했다.
구는 이번 예산 삭감으로 비상하던 효문화뿌리축제의 날개가 꺾일 것을 우려하고 있다.
대전시가 지역의 3대 축제로 성장시키겠다는 발표가 무색해진 것은 물론, 정부가 지정하는 대한민국 대표 축제 선정을 앞두고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24일 축제현장 평가와 전문가 심사를 통해 2015년도 대한민국 대표축제를 선정한다.
구 관계자는 “11월분까지 집행이 가능한 기초연금을 이유로 전국적으로 유명한 효문화뿌리축제를 비롯해 원도심 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예산을 삭감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정부 지정 대표축제 선정 과정에서 불리로 작용되면 정말 유감”이라고 전했다.
지역 주민들도 효문화뿌리축제 예산삭감에 크게 반발하고 있는 추세다. 상인 모임인 중구중요상권회장단 협의회를 비롯해 대한 어머니회 중구지회 등 시민단체들이 예산삭감을 반대하는 플랜카드를 구청과 구의회에 내거는 등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예산삭감을 두고 구의회 다수당(새누리당)이 당적이 다른 구청장(새정치민주연합)을 견제하기 위해 효문화뿌리축제에 딴지를 건거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대전의 지역축제로 떠오른 효문화뿌리축제가 현 구청장의 업적이 될 것을 경계한다는 해석이다. 지난 예산 삭감심의위원회에 새누리당 의원들만 참석한 점도 이 같은 해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