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낮은 일자리’만 속출…부처 소속에만 맞춘 제도 개선해야
![]() |
▲지난 5월 28일 한국전력공사 본사 앞에서 열린 제26회 전국 전기공사 기능경기대회에서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순옥 의원에 따르면 한전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들이 간접고용 인원을 늘리고 있다. 사진제공 나주시. |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들이 박근혜 대통령 공약에 따라 공공부문 기간제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고 외주화를 통해 ‘질 낮은 일자리’만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순옥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산업부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업부 산하 40개 기관들이 최근 2012년 대비 간접고용을 1084명이나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 대선 공약에 따라 지난 2013년부터 비정규직 차별해소를 위해 공공기관 비정규직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고 밝혔지만 산업부 산하 40개 기관의 간접고용 근로자는 2012년 1만 7723명에서 2014년 1만 8806명으로 1084명이나 늘었다. 비정규직을 외주화를 통한 간접고용이라는 형태로 줄이는 ‘꼼수’를 사용한 셈이다.
산업부 산하 40개 기관 중 2012년 대비 간접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관은 한국수력원자력으로 372명이나 늘었다. 이어 한국가스공사 250명, 한국남동발전 103명,한국석유공사 97명, 한국중부발전 95명 순이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관은 한국전력거래소로 333%(70명)나 된다. 한국석유관리원 80.5%(29명), 한국원자력환경공단 79.1%(53명),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49.6%(63명), 한국남동발전 36.7%(103명)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부 산하기관 중 간접고용이 1000명 이상인 기관만 4곳이다. 한국전력공사가 776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원랜드(1678명), 한국수력원자력(1151명), 대한석탄공사(1104명) 순이다.
산업부 산하 40개 기관의 무기계약직은 2012년 820명에서 2014년 986명으로 167명이 소폭 증가했지만 간접고용은 1084명이나 대폭 늘어 공공부문 비정규직 개선 실적보다 6.2배나 증가했다.
전순옥 의원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정책이 기관에 소속된 비정규직에 맞춰져 있어 산업부 산하기관들이 외주화를 통해 비정규직보다 더 나쁜 일자리인 간접고용을 늘리며 정부정책을 교묘히 빠져나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산업부 장관은 임금피크제를 강행할 게 아니라, 간접고용부터 줄여‘양 질의 일자리’창출에 매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