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조윤찬 기자] 대전도시철도공사는 지난 1년 동안 이용객에게 알리는 용어 가운데 어려운 한자어, 외국어 등 용어 380건을 우리말 순화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올 8월까지 한남대학교 국어문화원의 도움을 받아 공사 누리집(홈페이지)과 역사 게시물, 안내 방송 문안, 고객 운송약관에 있는 용어 가운데 380건의 올바르지 않은 것을 찾아냈고 이를 순화한다.
누리집에 있는 ‘게첨’이라는 어려운 한자어는 ‘내붙임’으로, 외국어인 ‘그린리더’는 ‘녹색활동가’로, 일본식 한자어인 ‘대합실’은 ‘맞이방’으로 변경된다.
또한 ‘매표소’는 ‘표사는 곳’, ‘사이버신고’는 ‘누리신문고’, ‘퀴즈 이벤트’는 ‘문제풀이 한마당’ 등으로 쉽고 어문규정에 맞는 우리말로 쓰기로 했다.
여러 가지 내붙임물(게시물) 가운데 자동계단(에스컬레이터)에 붙어있는 붙임딱지(스티커)에 쓰여 있는 ‘손잡이는 꼭 잡으세요’는 ‘꼭 손잡이를 잡으세요’나 또는 ‘손잡이를 꽉 잡으세요’로 바로잡고 ‘출구’는 ‘나가는 곳’ 또는 ‘날목’으로 고쳐진다.
특히 권위적 표현(신분증 제시 요구시→신분증 제시에 협조), 사용자 입장 표현(부정승차 단속 중입니다→부정승차를 단속하고 있습니다)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고치고 다듬어진다. 이밖에 띄어쓰기, 문장부호, 맞춤법에 어긋나는 용어를 하나하나 올바르게 바꿀 계획이다.
한편 공사는 직원 교육을 위해 ‘공공소통 과정’을 만들어 공문서 작성부터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표준어 사용, 올바른 맞춤법 지키기, 순화된 언어생활 등을 익혀 실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