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국제공조 등 단속 강화…“국경단계 밀수 차단 총력”

관세청은 2025년 상반기 국경단계에서 총 617건, 2,680kg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필로폰 1회 투약량(0.03g) 기준으로 약 8,933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올해 상반기 적발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70%, 적발 중량은 800% 증가했으며, 중량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4월 강릉 옥계항에서 적발된 페루발 코카인 1,690kg과 5월 부산신항에서 적발된 에콰도르발 600kg 등 대형 적발 사례를 제외하더라도, 나머지 마약만으로 390kg에 달해 전년보다 31% 증가한 수치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마약 밀수 주요 특징으로 ▲중남미 출발 대형 밀수 증가 ▲코카인·케타민 등 품목 다변화 ▲여행자·특송화물 경로 중심 밀수 증가 등을 꼽았다.

특히 중남미발 밀수는 미국·캐나다의 국경 단속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로 분석된다. 중남미 마약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 진출을 시도하면서 대형 밀수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올해 중남미발 마약 밀수는 전년 대비 7,824% 급증했다.
아시아 지역은 여전히 가장 많은 마약 밀수 출발지로, 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를 중심으로 지난해보다 10% 증가했다. 북미와 유럽발 밀수도 각각 72%, 191% 증가하며 새로운 공급처로 부상하고 있다.

적발 품목별로는 코카인이 2.29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필로폰 152kg, 케타민 70kg 등이 뒤를 이었다. 코카인은 전년보다 80배 이상 증가했고, 케타민은 747% 급증했다. 마약 성분 의약품 적발도 통관검사 강화에 따라 305건으로 지난해 대비 281% 늘었다.
밀수 경로로는 여행자가 248% 증가, 특송화물은 105% 증가한 반면, 국제우편은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자가소비 목적 밀수 증가와 함께 밀수의 대형화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관세청은 상반기 동안 태국, 미국 등과의 국제 공조를 통해 총 72.7kg의 마약을 사전에 차단했으며, 제주·김포 등 지방공항 우회 밀수에 대응한 특별대책회의를 통해 필로폰과 케타민 등 28kg도 추가 적발했다.

이와 함께 AI 및 빅데이터 기반 위험정보 분석, X-ray 등 검색장비를 활용한 자체 단속 건수는 전체의 93%에 달했으며, 지난해보다 72% 증가한 575건을 기록했다.
관세청은 향후 마약 밀수 차단을 위해 국경단계 단속 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마약사범 정보 및 위험 분석을 확대하고, 밀리미터파 검색기 등 첨단 장비 도입과 국제 공조 강화를 통해 밀반입을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국내 마약사범이 2년 연속 2만 명을 넘기며, 마약이 우리 사회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며 “관세청은 해외 밀반입을 원천 차단해 마약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로컬세계 / 최종욱 기자 vip8857@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