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등 골목상권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력 회복 기대
![]() |
▲2024년 경남도가 발행한 지역사랑상품권 이미지[사진=경남도제공] |
[로컬세계 창원=정판주 기자] 경남도는 올해 제1회 추경에 따라 18개시·군이 지역사랑상품권 8935억 원을 발행한다고 4일 밝혔다.
경남도는 총 발행액 중 상품권 할인비로 국·도비 243억 원, 시·군비 625억 원 등 총 868억 원을 지원한다.
상품권 발행 할인율은 인구감소지역인 밀양시 및 10개 군 지역이 10%, 그 외 시 지역이 7~10% 수준으로 소비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상품권 구매는 모바일.카드형 상품권은 올원뱅크(농협), 경남은행 모바일뱅킹, 비플페이 등 상품권 앱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구매할 수 있다. 지류형 상품권은 농협, 신협 등 지역 내 금융기관에서 구매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음식점, 카페, 소매점 등 약 20만개의 지역별 다양한 오프라인 가맹점과 e경남몰, 시군 쇼핑몰 및 공공배달앱 등 온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온라인전용 상품권 경남e지는 올해 46억 원 규모로 발행한다. 지난해에는 전액 도비로 발행했으나 올해는 국비 1억3,800만 원을 확보해 6월 중에 발행할 계획이다. 할인율은 10%로 월 최대 30만 원까지 구매할 수 있어, 최대 3만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경남e지는 온라인 전용으로 ‘e경남몰’ ‘산엔청몰(산청)’ ‘공룡나라쇼핑몰(고성)’ 등 시군 온라인 쇼핑몰 13곳 및 ‘배달의진주(진주)’ ‘먹깨비(김해)’ 등 공공배달앱 6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올해부터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맞춤형 상품권 사업을 추진한다.
지역맞춤형 상품권은 전통시장, 청년 대표자 가맹점, 착한가격업소 등 특정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시 기존 할인율에 5% 추가할인을 추가해 최대 12~15%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경남 경제는 수출과 고용률, 실업률 등 경제지표는 안정적이나, 소상공인의 체감경기는 여전히 어려운 실정이다”면서, “다양한 지역사랑상품권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소비촉진과 소상공인의 소득증대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