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
비대면 시대 자기관리 능력(Self management ability in the non face to face era)의 계획은 자신의 건강과 행복을 이어가는 삶의 방법이기도 하다. 인간은 지구에서 삶을 이어오는 동안 지구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무수한 싸움 즉 분쟁을 일으켜온 것이 면역성 강화다.
이는 인간이 알지 못하는 시간에 지구의 에너지변동이 급격히 또는 서서히 변하면서 발생하는 생명체에 의해 자리다툼의 싸움이 지구환경의 탈바꿈시대에 인간이 적응하기 위한 노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그중 가장 강한 것이 화학적 약물의 농도에 의한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지구자신이 에너지변화가 안정화 되는 시기에 인간은 자연스럽게 아무 일 없었던 것 같이 잔재들과 싸움이 점점 약해져 가면 안정된 지구생활 환경이 이루어 진다.
이런 현상 중 진리는 강자존(强者存)이며 이것은 변하지 않은 지구환경의 법칙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는 인간이 먹이사슬에서 가장 상위에 존재한다고 모두가 기억하고 있다. 이런 것은 인간이 과학문명을 발견하면서 강자라는 생각과 행동이지만 때로는 지구환경의 공격에 속수무책이 그 증거가 될 것이다.
2020년에 들어 COVID-19에 의한 인간활동이 강하게 위축된 현상일 때는 인간이 강자라는 말이 쑥 들어가 있어 인간은 다양한 행동을 제안하여 바리러스와 싸우고있지만 거대수의 인간이 순간 생명을 잃고 있는 것은 지구생활에서 60년 주기로 에너지변동 발생이 역습일 경우만 속수무책이라고도 말하고 있다.
지구의 시간으로 볼 때는 순간이며, 그 순간에 인간은 생과사의 갈림길에서 층격을 받고 있다. 그것이 지금까지는 주기성이었다는 것은 에너지변동에 생사의 것들이 자신에 적합한 생활조건일 경우에 거대활동을 하는 시기가 인간에게는 치명적 시기를 맞게되어 이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활동하지만 우연이도 인간의 노력에 굴복한 것 같이 힘을 못쓰는 형상이 인간은 치료 백신이라고 말하고 안심시킨다.
때로는 멸종이 점점 강해지는 시기에 인간이 개발한 면역성의 활동으로 행동을 하지만 지구순환엔지면동에서 활동하는 지구 바이러스는 인간을 아니 지구환경 생태계의 모든 것들에 아량을 베풀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그것은 우리들의 힘에 의해 방어하는 것은 조족지혈의 것에 지나지 않고 오직 에너지 안정이 되면 인간은 한숨 돌리고 정상생활 또는 지정산생활을 한 결과라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다.
지구의 생명체들은 약육강식의 법칙에 어긋나지 않고 존재하는 것은 지구의 역사 46억년 동안 계속되고 있는 것 이다. 그래서 강자존이라는 표현이 적당하며 그것이 인간의 노력으로 후드체인의 상위자로의 승리가 인간세가 존속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파워을 갖기 위해 활동이 면역성 강화일 것이며 그것이 승리를 위한 전쟁의 한 틈이 되고 있다. 그럼 지기관리로는 인간이 활동하므로 자신이 에너지 강화가 되어 외부의 친입에 방어할수 있는 것은 계속 움직이므로 에너지생산이 강해지는 것을 하기 위한 활동일 것이다.
인간은 움직임의 데드라인으로 워킹 5분, 5km의 조깅, 달리기로 50m 5분 동안, 조깅 5분, 워킹 5분 등이 자기관리의 기본이 된다는 것은 쉬지 않고 운동하므로 그가 생산하는 강한 면역성 때문에 바이러스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며 이와 아울러 약물로 더 강화하면 멸종은 면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스스로 방어하는 능력인 면역강화일 것이다.
현재 지구인들이 순간에 천만명이 넘는 인간이 사망하는 것은 역사시대에 항상 있어 왔던 것이지만 인간의 생활이 평안하면서 더 강해졌다. 그러므로 인간세는 살아남은 사람만이 다음을 이어가는 씨앗이 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위와 같은 면역성 강화활동과 인간이 만든 화학성분에 의한 방어와 치료 등의 활동이 강해질 때 지구환경역습과의 분쟁은 안정되는 긴 시간을 맞게 될 것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이과대학 명예교수. 땅물빛바람연구소대표. 한국갈등조정학회장. (사)해양문화치유관광발전회고문. (주)이앤코리아고문. New Normal Institute연구소장. 구리시 미세먼지대응대책위원회 위원장 [mwchoi@konkuk.ac.kr]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