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지원정책 자금 지원보다 육아·탁아시설 확대 절실
![]() |
▲신혼부부 주거실태 조사 인포그래픽. 자료제공 국토교통부. |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 신혼부부들이 맞벌이를 하는 가장 큰 이유로 주택비용을 꼽았으며 10쌍 중 8쌍 이상이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국토교통부는 기존의 주거실태조사와 별도로 신혼부부의 주거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처음으로 ‘2014년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4.7%가 ‘내 집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6일 밝혔다.
신혼부부들의 내 집 마련에 대한 응답은 일반가구(79.1%)보다 높아 주택에 대한 보유의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소득층 보다는 중‧저소득층에서, 자녀가 없는 가구보다 있는 가구에서 내 집 마련 의지가 더 높았다. 내 집 마련 예상 소요기간은 평균 8년 9개월로 생각했다.
신혼부부가구 중 37.2%가 맞벌이를 하며 혼인 연차별로 1년차가 44.8%로 가장 높고 2년차 40.9%, 3년차 30%, 4년차 37.9%, 5년차 32.3%로 집계됐다.
맞벌이 이유로는 41.2%가 주택비용을 꼽았으며 여유로운 삶, 생활비 마련, 자녀 육아‧교육비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외벌이를 하는 이유의 대부분(81.5%)은 부부 중 한명이 자녀의 육아‧보육을 희망하기 때인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대한 자금 마련은 부부자금과 금융기관 대출‧융자를 이용한 가구(35.5%)가 가장 많았으며 부부자금(21.8%), 부부자금과 부모‧친인척 상속(13.8%) 등의 순이었다.
또한 절반에 가까운 신혼부부(48.6%)가 내 집 마련과 전세자금 등 주택자금 마련을 위해 대출상품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출상품의 신청자격 완화 및 대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거주주택 선정 시 직장과의 거리가 가장 크게 고려하는 요소이며 자가(29.4%)보다는 임차(62.9%)로 거주하고 있다. 또한 임차 가구 중 전세가구 비율(77.5%)이 보증부 월세(21.9%)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의 절반(52.3) 이상이 저렴한 임대료 및 임대료 상승에 대한 걱정이 없다는 이유로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신혼부부 지원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보육시설 등 육아지원정책 강화가 절실하며 주택마련 정책, 생활안정정책이 뒤를 이었다. 이는 신혼부부 가구의 최대 관심사가 육아(34.6%)이기 때문이다. 육아지원 정책 중에서는 육아수당 등 직접적인 자금지원(46.7%) 보다는 믿고 안심할 수 있는 육아·탁아시설 확대(53.3%)를 더 중요시 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결혼한 지 5년 이내의 신혼부부 2677가구를 패널조사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앞으로 매년 진행된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