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선택 대전시장이 16일 오전 대전시청 브리핑룸애서 미래부와 사이언스콤플렉스 2년 만에 최종 협상 타결에 대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
[로컬세계 조윤찬 기자] 대전시는 16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창조과학부, 특허청, 신세계 등 관련 기관들과의 협상 타결로 사이언스콤플렉스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밝혔다.
권선택 시장은 미래부의 사이언스센터 부담약속을 마무리 짓고 앞으로 엑스포재창조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협상과정에서 조성비 500억원, 공공성, 랜드마크 학보라는 3가지 원칙을 견지하면서 일석사조의 성과를 얻으며 협상을 마무리 했다”며 “대전시는 지난 2013년 7월 미래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할 당시 이미 약속했던 사이언스센터 조성비 부담 약속 이행이 불투명해지면서 미래부와 신세계, 특허청 등과 지속적으로 협상을 추진해 왔다”고 설명했다.
![]() |
▲사이언스콤플렉스 메인조감도. |
그러면서 “사이언스센터, 국책사업(국제과학벨트), 특허 허브도시(특허정보원), 시책(엑스포재창조) 정상화 등 4가지 지역현안이 정상궤도에 진입했다”며 “미래부가 약속한 사이언스센터 15개층은(조성비 500억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300억원을 통해 9개층을 조성하고 신세계의 200억원으로 6개층을 만들게 된다. 신세계는 특허정보원이 IBS 부지로 이전함에 따라 발생한 특허정보원 당초 계획부지를 신세계가 추가 활용하는 대가로 2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대전시와 미래부는 사이언스센터내에 조성키로 했던 과학도서관(200억원)을 IBS 부지내 건립하고 이를 대전시민에게 개방함으로써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지역민과 함께하는 연구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뜻을 같이 했다.
또한 사이언스센터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추가 확보되는 6개층에는 연구소기업지원센터 등 국책사업을 적극 유치키로 합의했다. 시는 조속한 시일내에 미래부와 특허청 등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추진에 나서며 오는 2016년 3월 착공에 들어가 2018년 완공할 예정이다.
한편 사이언스콤플렉스 등 엑스포재창조사업은 과학문화 중심 도시로서의 위상을 재정립할 뿐 아니라 종사자수도 현재 700여명에서 8400여명으로 7700여명이 증가하고 지료를 포함한 지방세 등 수입도 연간 190여억원으로 현재 27억원보다 크게 늘어나 침체돼 있는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는데 일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
▲엑스포재창조사업 조감도. |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