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맹화찬 기자]부산시는 연간 40여건이 발생하고 있는 해안가 테트라포드 사고를 줄이기 위해 출입자를 인식하는 지능형 CCTV와 구조요청 소리를 인식하는 음원인식시스템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부산 소방안전본부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테트라포드 사고는 2013년 43건, 2014년 45건, 2015년 32건, 2016년 42건 등 매년 평균 40여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시는 테트라포드에 출입자를 인식하는 지능형 CCTV와 구조요청 소리를 인식하는 음원인식시스템을 병행 적용해 해운대 청사포항 2곳과 수영구 남천마리나 주변 3곳에 설치하고 오는 26일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운영 방법으로는 부산시 재난안전상황실 및 해당 구·군 통합관제센터에서도 테트라포드 출입자 감시, 낙상사고, 지진해일 감시(야간은 적외선 CCTV 적용)와 안전사고 예·경보방송이 가능하도록 했다.
지능형 CCTV는 출입자 감시 및 낙상사고를 인식하는 기술과 구조요청 소리를 인식하는 음원인식기술을 병행 적용한 최첨단 시스템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을 바로 적용하는 것은 아니다. 지난 10월에 설치를 완료했으나, 그간의 빅 데이터를 충분히 분석하고 학습하여 신뢰성을 높여 현장에 적용한 것으로 테트라포드 안전사고 뿐 만아니라 해안가에 발생할 수 있는 지진해일 등을 병행해 감시할 수 있다”며 “야간에도 감시가 가능한 적외선 CCTV로 지진해일감시, 쓰레기무단투기 감시, 방범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내년부터 해운대 마린시티 주변, 영도구 남항 방파제 등 안전사고가 잦은 곳부터 우선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