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과연 이런 교육이 우리에게 꼭 필요한가도 묻고 싶다. 의무 교육인 중고등 과정을 마치면 이미 기본 학습은 끝나는 것이다. 그런데 대학을 안 가도 사회생활에서나 직장 생활에서 우리가 느끼는 것은 불필요한 졸업장으로 인간을 선별하는 것도 문제다.
인간이 세상 어디서고 살아가고 소통을 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다. 그런데 우리의 교육은 과연 국제적 수준에 맞추어 언어 교육을 시키고 있는가? 의심스럽다. 언어 교육은 어려서부터 하면 쉽게 터득한다.
그런데 우리의 교육은 언어의 장벽 이다. 심지어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영어 하나도 제대로 회화를 가르치지 못하고 있는 교육이다. 이래서야 선진국이라는 말이 맞는가?
문제는 간단하다. 우리의 교육도 영어와 중국어 회화는 어려서부터 회화를 가르쳐야 한다. 그러다 보면 어디 가서도 자신의 직장과 국제적 업무에서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교육은 회화 보다는 문법이나 단어, 숙어 문제로 시험 위주의 교육으로 사실상 시대에 맞지 않는 엉터리 교육을 시키고 있다. 그러다 보니 졸업후에도 영어 회화를 제대로 할수가 없는 형편이 되어 버린다.
과연 이것이 올바른 사고의 시대적 교육인가? 우리나라는 어느 나라보다 교육의 향학열이 높은 것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그동안 실효성 있는 교육인가는 누구도 묻지 않고 그냥 학교 교육만 시켰다. 이것이 필요한 교육으로 시대에 맞는가? 의심스럽다.
어려서부터 생활 영어로 회화의 길을 연다면 국제 사회에서도 우리나라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할 것이다. 모든 교육은 시대에 따라서 변하여 가야 한다. 실무에서 사용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교육으로서 배제되어야 하며 꼭 필요한 교육만이 국제 사회에서 우리가 살아 나갈 길이다.
지금 국제 사회에서 공통어로 사용하는 영어와 인구가 많은 중국어는 왜 필요한가? 결국에는 먹고 사는 문제이다. 언어가 소통되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우리나라는 가까운 중구이 좋아서 언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다. 인구가 많기 때문에 무역의 주 무대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중국어도 필수로 가르쳐야 한다.
이렇게 우리의 교육도 현장에서 변하여 실효성 있게 회화 위주로 바뀐다면 비록 작은 나라지만 일자리는 넘친다. 미국도 중국도 우리 젊은이들의 일자리가 보장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세상은 넓다. 언어가 소통되면 어떤 곳이건 어떤 나라이건 우리의 젊은이들에게는 호기의 일자리가 될 수도 있다.
보수적인 사고력으로 교육을 짓밟아서는 아니 된다. 시대에 대응하는 실효성 있는 교육의 장이 열려서 우리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참교육의 장이 되었으면 하고 희망을 바라는 마음뿐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