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용우 행정학박사(지적학전공)/작가 |
‘대고려국’ 건국이 계획이 무산되자 일본은 만주에 또 다른 나라를 건국하기 위해서 박차를 가한다. 만주야말로 대륙진출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곳으로, 일본은 반드시 만주를 차지하기 위해서 ‘대고려국’ 건국을 계획했던 경험을 토대로 만주국 건국을 위한 사전계획 아래 만주에 대대적인 투자를 한다.
1920년대에 만주에 투자된 외국 자본 중에서 일본 자본이 약 70%에 해당한다. 이 투자 중 상당 부분은 만주철도를 건설함으로써 일제가 이미 병탄한 대한제국을 기지로 삼아 중국대륙과의 전쟁에 필요한 물자와 병력수송을 수월하게 하자는 의도였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철도에 투자한 이유가 단순히 전쟁의 승리를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일본은 만주에 투자를 하면서 일일이 계산하고 투자했다. 철도에 투자한 것도 그 자체가 교통기반시설에 투자한 것이다. 일본의 만주에 대한 투자 의도 중 가장 큰 목적은, 일본이 중국과 전쟁을 벌였다가 패전하더라도, 만주만큼은 수중에 넣겠다는 의지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일본의 만주에 대한 욕심은 일본 정부가 군부를 통해서 장쭤린(張作霖)을 적극적으로 지원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장쭤린은 청일전쟁에 참여하여 청나라가 패망하자 고향인 봉천성(奉天省; (현)요녕성)으로 돌아가서 자위부대를 조직하고 그 세력이 점점 커지자 만주를 독자적으로 지배하였고, 만주를 독립정부처럼 운영하는가 하면 베이징까지 진출하여 1926년에는 베이징에서 대원수직에 취임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야심은 1927년 통일 중국이라는 기치아래 북으로 진격해오는 장제스의 국부군에 눌려 약해지기 시작했고, 그를 지원하던 일본 정부는 장쭤린에게 베이징을 국민당에 넘겨주고 퇴각하도록 압력을 넣었다. 결국 장쭤린은 자신을 추종하는 무리들에게 퇴각을 명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본이 장쭤린에게 퇴각하라고 압력을 넣었고 장쭤린은 그 지시에 따랐다는 것이다. 이것은 장쭤린이 일본에 의해서 그 힘을 키울 수 있었기에 일본의 퇴각 명령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과 동시에, 일본은 그 목적이 만주에 있었기에 북경을 포기하도록 종용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태는 일본의 철저한 계산 아래 이루어진 것이다.
반면에 일본 극우 민간단체 겐요샤의 수뇌인 도야마 미쓰루는 신해혁명의 지도자 쑨원을 비롯해 황싱, 쑹자오런, 후한민, 왕징웨이등 혁명 지도자들 대부분이 일본 망명객 내지는 유학의 경험자들이라는 것을 인연으로 내세워 쑨원과 장제스(蒋介石)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그는 신해혁명이 성공함으로써 청나라와 한족중심의 중국이 분리돼야 각각의 힘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혼란이 야기되는 틈을 이용해서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기 쉽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신해혁명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것은 중국동맹회를 비롯한 중국인 이외에 외국인들도 적지 않게 존재했었는데, 특히 우메야 쇼키치(梅屋庄吉), 미야자키 도텐 등의 일본인들이 현저하게 많았다는 기록들이 이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결국 신해혁명은 한족 중심의 중국이 청나라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한 혁명이고, 이 혁명이 성공해서 중화민국을 탄생시켰으나 그것은 일본 우익인 도야마 미쓰루가 이끌고 있는 겐요샤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서 성공한 혁명이다.
이상에서 보듯이 일본 정부는 군부를 통해서 장쭤린을 지원하였고, 극우 민간단체인 겐요샤는 중화민국의 신해혁명을 지원하였으니 민간단체와 정부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양쪽을 지원함으로써 한족의 중국과 만주를 철저하게 분리해 놓자는 계산을 오래전부터 해오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노력이 실패하는 것처럼 보였던 사건도 있다.
괴뢰 군벌을 두는 것보다는 직접 만주 지배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던 관동군 참모들이 1928년 6월 4일, 장쭤린이 베이징에서 천진으로 돌아오기 위하여 타고 오던 기차를 폭파하여 그를 암살하였다.
일본은 이 사건이 정부의 계획은 아니었다고 한다. 하지만 장쭤린을 암살한 관동군 참모들이 군법회의에 회부되지 않은 것을 볼 때, 그 진실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당시의 엄격한 일본군율을 볼 때, 만일 일부 관동군 참모들에 의해 본국의 의도와 전혀 다른 사건이 일어났다면 그들은 살아남기 힘들었을 것이다. (13회에 계속)
신용우 행정학박사(지적학전공)/작가/칼럼니스트/영토론 강사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