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
그런데 급성장한 대한민국은 이제 어떤 나라인가? 경제력도 급성장하여 세계 선진국에 들어 있는데 정치와 교육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많다. 이것은 우리 정치인들의 수준이 지혜롭게 세상을 여는 정치를 하지 못하기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오히려 이국인들은 우리 대한민국을 부러워하는데, 여기에 사는 자국민들은 불만이 쌓여 있다. 정치가 엉망으로 서로 싸우니 꼴불견처럼 불안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교육은 너무 시대에 뒤떨어지게 학원 풍토로만 변질되어 가고 있으니 안타깝다.
우리 교육이 이렇게 가야 하는가? 교육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선생님들부터 정신 교육이 필요하다. 자신의 철학관이 확실하다면 밀고 나가면서 학생들을 바르게 지도해야 하는데 지나친 학부모들의 개입이 문제를 만들어 선생님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있다.
차음부터 이런 문제는 교육부에서부터 잘 못 되었다. 우리 교육 현장에 전교조의 등장부터 교육현장을 어지럽혔다. 무슨 교육자가 노조 활동인가? 배우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보여주려고 하는지 그러다 보니까 교육현장이 사교육화처럼 학교 공부보다도 사교육 현장의 학원이 더 학부모들의 생각에 인정받는 사회로 전략 되어 가는가? 말이 안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 현장도 실전 교육처럼 시대에 맞게 이뤄져야 하는데 이론적 교육은 이제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이다. 하나의 예를 들면 영어를 배운지가 우리나라가 얼마인가? 수많은 세월속에서도 우리 교육은 단어 수어로 시험위주나 가르치지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회화는 안 가르친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사회에서 사용하지도 못할 교육은 어디다 쓰는가?
영어 회화는 세계 공통어로서 누구나 알아야 할 말이 되어 버렸다. 그런데 우리 교육은 유치원부터서 심지어 대학을 나와도 영어 회화를 누구나 할 수 있는 교육관은 없이 형식적인 교육이 되어 버렸다. 이것이 문제다. 심지어 교등학교만 나와도 영어 회화를 잘하면 세계 어디가서도 우리의 젊은 청춘들은 일자리와 공부도 마음대로 할수 있다. 그런데 왜 현실에서 필요한 교육은 없고 입시 위주로 시험 위주의 교육만 시키는가? 이제 우리나라도 대학을 안 나와도 되는 세상이 되어 버렸다.
정부가 지금까지 교육에 대한 실질적 기대는 제대로 가지고 있는가? 묻고 싶다. 첨단 과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영어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우리의 한글과 영어 회화는 어려서부터 누구나 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곧 나라를 국제적으로 발전 시키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자꾸만 학벌 위주의 졸업장 제도만 고집하다가는 지구상에서 가장 소통이 짧은 우리 나라가 될 수도 있다. 이제 유치원 부터서 고등학교 까지만 나와도 영어 회화는 어느나라 못지않게 잘하도록 현장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