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학농민혁명의 시작 ‘고창 무장기포지(茂長起包址)’가 문화재청 심사를 거쳐 국가지정 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됐다. 고창군 제공 |
[로컬세계 김경락 기자]전북 고창군의 동학농민혁명 발상지 위상 강화 정책이 빛나고 있다. 국가기념일 무장포고문 낭독, 고교 역사교과서 전체에 무장봉기 내용 수록, 전봉준 장군 생가터 전북도 기념물 지정, 무장기포지 국가사적 지정 등 1년에 1건씩 도장깨기 하듯 술술 해결하고 있다.
3일 고창군은 동학농민혁명의 시작 ‘고창 무장기포지(茂長起包址)’가 문화재청 심사를 거쳐 국가지정 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고창 무장기포지’는 공음면 구암리 590번지 일원 19필지가 해당되며 면적은 7390㎡이다.
조선 후기에 지역 한계를 넘지 못한 가렴주구에 반대하는 농민들이 분노한 수많은 민란이 있었다. 하지만 무장봉기는 혁명의 이념과 지표인 ‘무장포고문’과 농민군 행동강령인 ‘4대 강령’을 정립 발표함으로써, 소규모 농민 소요가 농민 혁명의 틀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동학농민혁명이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전국적인 대규모 항쟁으로 커지고, ‘보국안민’이란 혁명의 목표가 최초로 제시되었으며 봉건제도 개혁의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역사 민족·민중항쟁의 근간으로 평가받고 있는 사건이다.
특히 이번 무장기포지 국가사적 지정은 그간 고창군민들의 아쉬움을 단번에 해결해 줬다.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이 무장(전북고창)봉기 라는 사실이 역사학계에선 이미 정설이 되었음에도 국가 기념지는 전무하면서 타 지역에서의 승리만을 이야기 했었다.
하지만 올해 무장기포지 사적 지정과 그에 앞선 2020년 새학기 한국사 8종의 전체 교과서에 무장봉기 내용이 실리면서 동학 전문연구자들과 고창군민 등 소수만 알던 역사적 사실이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
고창군 관계자는 “이제라도 국가적 차원의 동학농민혁명 고창 성지화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돼 자주적인 우리 역사의 흐름을 계속 이어가고,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이들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기리며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당당하게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