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송용길 대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8일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전학을 신설, 특화 운영을 설명하고 있다. |
[로컬세계 오영균 기자]송용길 대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8일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대전학 신설로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의 위상을 높인 점을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대전학 신설로 도시의 정체성을 찾고 시민 스스로 자부심과 긍지를 갖도록 했다는 게 송 원장의 설명이다.
현재 대전학 교재 개발, 대전학 강사 양성, 찾아오는 대전학 운영, 찾아가는 대전학인 ‘대전이 좋다’를 추진해 호응을 얻고 있으며 문화유산국민신탁과 업무협약을 맺고 문화재인 ‘소대헌 송요화 고택’을 대전학 제2캠퍼스로 구축, 대전학 발전의 전기를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송 원장은 취임 이후 본연의 정책개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전담 인력을 2명에서 5명으로 보강했다. 또한 네트워크 기능을 향상하고 교육시설의 대관을 확대해 자치구와 대학, 민간 유관기관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호혜적 상생관계를 도모했다.
‘대전평생교육지’를 정보 위주 내용으로 개편하고 홍보동영상과 기관 안내책자를 제작해 진흥원 역할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도심 속 둘레산의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들여와 건물 명칭을 산이름으로 변경했고 정원조명 및 화장실 비상벨 설치로 교육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개선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을 벤치마킹하려는 움직임도 늘고 있다. 우선 최근 설립된 세종평생교육진흥원이 창립부터 대전평생교육진흥원을 벤치마킹했고 경기, 울산, 전남 등 타 시도에서도 양질의 교육프로그램, 학습자 중심의 교육시설, 효율적인 경영방법 등을 배우기 위해 대전을 찾고 있다.
송 원장은 이 같은 성과가 변화를 위한 진흥원의 뼈를 깎는 자기 혁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민대학의 강좌를 학기당 1000여개에서 500여개로 재편성하고 강사 1인 1강좌제를 실시해 지역 전문가들에게 공정성 있는 기회를 부여했으며 배달강좌를 취약계층 중심으로 운영, 평생교육 사각지대를 해소했다는 것.
송 원장은 “진흥원이 대전평생교육 중추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 타 평생교육기관과 상생협력하고 시민을 위한 평생학습 환경을 구축하겠다”며 “변화와 혁신을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노력으로 신뢰받는 기관으로 위상을 굳건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