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서울특별시 관악구의회 구자민 의원(국민의힘·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이 지난해 전국 최초로 발의한 '서울특별시 관악구 깡충깡충 성장양육지원금 지원 조례'가 시행 2년 차에 접어들며, 영유아 가정의 양육비 부담 완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조례는 관악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 이상 거주한 만 2세부터 만 4세 영유아에게 1인당 연 30만 원씩 관악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구자민 의원은 2024년 3월에 조례를 발의했으며, 같은 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서 약 1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여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했다.
구자민 의원은 조례 발의 당시, “양육가정의 경제적.심리적 부담이 집중되는 시기에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마련한 전국 최초의 정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사업 시행 이후 실제 집행 성과도 뚜렷하다. 2024년 11월부터 12월까지 두 달간 2,433명의 영유아가 지원을 받아 약 7억 3천만 원이 지급되었다. 2025년에도 1월부터 8월까지 수혜 대상 영유아 3,237명 가운데 927명이 신청하여 약 2억 7천 8백만 원이 지급되는 등 제도가 점차 주민들에게 알려지고 정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악구 주민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신림동에 거주하는 한 부모는 “지원금 덕분에 기저귀나 분유 마련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또한, 낙성대동의 다른 부모는 “처음에는 큰 의미가 있을까 싶었지만 막상 받아보니 체감 효과가 크다”며 “다른 지역에도 이런 사업이 확산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례 제정 이후에도 구자민 의원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와 간담회를 통해 양육가정의 의견을 수렴하며 정책 보완에 힘쓰고 있다. 그는 “조례 제정이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부모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성장양육지원금을 꼼꼼히 살피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역시 “관악구의 성장양육지원금이 지방의회가 주도한 새로운 지원 체계”라며 “저출산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한 선도적인 사례로, 향후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 가능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구자민 의원은 “지원금 시행 이후 많은 부모들이 아이 키우는 부담이 조금이나마 줄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꾸준히 제도를 다듬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임종환 기자 lim4600@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