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미경 의원이 제219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대전 북부특수학교 용지 반영 촉구 건의안’을 제안하고 있다.
|
구 의원은 이번 제안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우수한 교육환경조성과 대전시 특수교육 수요충족 및 균형적인 특수교육제공을 위해 2015년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개발계획에 특수학교 용지가 반영될 수 있도록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기관에 촉구 건의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전시는 현재 특수학교가 있으나 중·고등학교 학급에서 과밀이 이뤄지고 있다”며 “인근 지역수요에 따른 학생유입 등 지속적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수요가 중가하고 있다. 특수학교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장애인 등의 관한 특수교육법’의 취지와 적정한 학교 용지 확보 용이성 등을 비춰볼 때 대전 유성구 북부지역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가 특수학교 설립에 적지라고 할 수 있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지구내에 특수학교가 설립 될 수 있도록 특수학교 용지 반영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현재 대전시에는 대전맹학교, 혜광학교, 가원학교, 원명학교, 성세재활학교 등 5개 특수학교가 운영되고 있다”며 “지난해 대전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학급당 학생 수는 특수학급 학급 정원기준과 비교할 때 이미 중·고등학교 학급에서 과밀이 이뤄지고 있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최근 특수학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특수 교육의 기회확대 및 지원서비스 강화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특수학교가 없는 충남 계룡, 논산, 금산 등 대전시 인근지역 수요에 따른 학생유입도 빠른 속도로 느는 상태”라며 “향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시 거점지구로 유입되는 장애학생 수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구 의원은 제안 설명 후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특수학교를 설립하려면 약 400억원의 재원이 필요해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 등 관계기관에서 적극 나서야 한다”며 “현재 특수학교는 4.7명당 1명의 특수교사가 담당해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힘든 실정으로 우리나라도 향후 선진국 수준인 학생 2명당 1명의 특수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